[MWC25] 'XR 무한'에 질문 쏟아낸 유영상…노태문 "쓰고 걸어도 돼"
XR 무한, 목소리 기반 인터랙션…멀티모달 인터페이스
유영상, 갤럭시 AI 관심…기술 원리·한계 질문해
- 신은빈 기자
(바르셀로나=뉴스1) 신은빈 기자
"XR 안경으로 발전한다고?"
유영상 SK텔레콤(017670) 대표는 삼성전자(005930) 최초의 확장현실(XR)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을 유심히 살펴보며 이렇게 물었다.
유 대표는 3일(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MWC) 2025'의 삼성전자 부스를 방문해 전시를 관람했다.
함께 전시를 보던 노태문 삼성전자 모바일경험(MX) 사업부장(사장)은 "안경 쪽으로도 진화할 계획"이라며 "무게나 착용감이 좋은 데다 인터페이스가 더 자연스러운 보이스를 기반으로 인터랙션할 수 있고, 멀티모달 인터페이스가 되는 게 가장 큰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외에도 유 대표는 "기기를 쓰고 걸어 다닐 수 있나", "안에 통신용 칩이 들어있나" 등 노 사장에게 프로젝트 무한과 관련한 여러 질문을 하며 관심을 표했다.
노 사장은 "카메라가 있어서 쓰고 걸을 수 있지만 권장하지 않는다"고 답했고 "현재는 와이파이 테더링으로만 연결된다"며 프로젝트 무한을 설명했다.
이날 유 대표는 노 사장과 함께 삼성전자 부스를 돌며 갤럭시 S25 엣지, 프로젝트 무한, 갤럭시 AI, 스마트싱스, 나우 브리프 등 삼성전자의 기술과 제품을 체험했다.
특히 유 대표는 갤럭시 AI 기술에 관심을 보였다. 가이드의 설명을 듣던 유 대표는 "이게 온디바이스(기기 탑재)인가요? 아니면 클라우드를 거치나요, 믹스인가요?"라며 질문을 쏟아냈다.
노 사장은 "시나리오별로 클라우드에 온디바이스가 섞인 형태"라고 말했다.
설명을 들은 유 대표는 온디바이스와 클라우드 기술을 섞을 때 기술적인 어려움은 없었는지도 물었다.
노 사장은 "온디바이스 성능이 받쳐주는 기능들 위주로 먼저 온디바이스화한 다음, 고성능을 원할 때는 클라우드를 사용한다"며 "온디바이스 하드웨어 성능이 높아질수록 커버리지(기능 수행 영역)도 더 넓어진다"고 설명했다.
AI가 사용자의 정보와 일정을 학습하고 정보를 요약 제공해 주는 '나우 브리프' 기능을 시연할 때 유 대표는 구글과의 제휴 여부를 묻기도 했다.
노 사장은 "삼성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앱)과 구글 서비스가 먼저 구현돼 있고, 순차적으로 서드파티(협력 업체) 앱들로 더 확장될 것"이라고 답했다.
유 대표는 갤럭시 워치의 헬스케어 기능을 체험하면서 "이걸 차고 자면 수면까지 되는 줄은 몰랐다"며 웃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이날 노 사장은 유 대표가 삼성전자 부스를 방문하기에 앞서 자사 부스를 찾아 전시된 제품과 기술을 살피고 직접 체험해 봤다.
bea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