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신 인증부터 공공 메시지까지…카카오톡이 일군 사회 가치
코로나19 당시 질병청 챗봇 지원…잔여 백신 예약·인증 기능도
행안부, 알림톡으로 예산 40억 절감
- 신은빈 기자
(서울=뉴스1) 신은빈 기자 = 출시 15주년을 맞은 카카오톡은 채팅 서비스 외에도 다양한 기능을 제공해 왔다. 단순한 편의 기능을 넘어 공공 부문 서비스를 지원하면서 지금까지 사회 가치를 창출하고 있다.
19일 카카오(035720)에 따르면 카카오톡은 2021년 1월 코로나19가 유행할 당시 질병관리청 카카오톡 채널 개설과 챗봇 기능을 지원했다. 덕분에 질병관리청은 빠르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었다.
같은 해 5월에는 잔여 백신 예약 서비스를 카카오톡 애플리케이션(앱) 내에서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백신 접종 인증 서비스 '큐알(QR) 체크인'과 '백신 접종 인증' 등도 제공했다.
코로나19가 확산하던 2022년 3월에는 카카오톡 내 '코로나19 자가 진단 챗봇'을 구축해 이용자들이 증상에 따른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도왔다. 재택 치료 대상자가 아닐 경우에는 확진 전후에 필요한 행동 지침과 주의 사항을 안내했다.
'코로나19 FAQ' 메뉴에서는 신속항원검사, 중합효소연쇄반응(PCR) 검사, 코로나19 감염 의심 증상 등 코로나19와 관련한 다양한 정보를 전달했다.
카카오톡은 공공 부문 서비스를 제공해 이용자와 부처 모두의 편의성을 높였다. 정부와 기관의 예산 절감 등 경제적 가치도 창출했다.
대표적으로 행정안전부는 중앙부처와 지자체가 국민에게 발송하는 '모바일 메시지 서비스'에 카카오톡 알림톡을 도입해 행정 예산 약 40억 원을 절감했다.
서울시 노원구는 카카오톡 기반의 체납 안내 서비스를 통해 도달률을 106% 초과 달성했다.
카카오톡은 공공기관 사칭 피해 예방에도 힘쓴다. 올해 1월부터 '공공기관 채널 전용 채팅방 배경'을 공공기관 카카오톡 채널에 제공하고 있다.
전용 배경이 적용되면 기존 공식 채널 우측 상단에 표시되던 비즈니스 채널 배지와 함께 공공기관 사칭 여부를 확인하기 더 쉬워진다.
현재까지 경찰청, 검찰청, 국민건강보험공단, 병무청 4곳 채널에 전용 배경이 우선 적용됐으며 이후 다른 기관으로도 확대할 예정이다.
건강과 의료 관련 공공 분야에서도 카카오톡의 기능을 활용할 수 있다.
보건복지부와 국립정신건강센터는 카카오헬스케어와 협력해서 구축한 '마음건강 챗봇'을 통해 우울증 자가 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소방청은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카카오톡 채널에 무료 응급 의료 상담 서비스를 제공해 언제 어디서나 민원 상담이 가능하게 했다.
bean@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