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의 눈]2개월 남은 과기장관의 숙제…튼튼한 기술사업 기반
개별 연구자 노력으론 한계…산업계·연구계 네트워킹 상설화해야
범부처 협력해 연구자 하이리턴 노릴 수 있는 창업풍토 조성해야
- 윤주영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대통령 탄핵으로 임기가 2달 남은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기술사업화 기반은 꼭 마련하고 가겠다는 약속을 했다. 지난 30여년간 과기정통부가 한편으로 다뤘던 안건이지만, 브랜드 정책으로 강조한 건 유 장관이 처음이다.
그렇다면 좀 더 차별화된 기술사업화 기반을 마련해 정책이 차기 정권에서도 동력을 얻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과기정통부가 최근 추진하는 산업체와 연구기관 간의 네트워킹 강화는 바람직하다. 그동안 일부 개인 연구자나 출연연 내 기술이전 전담조직(TLO) 중심으로 기술사업화 생태계가 발전했지만, 이 방식은 이제 한계를 맞았다는 평이다.
정부 차원에서 재원·인적 자원을 적극적으로 투입해 산업계·연구계 간 매칭을 상설화해야 할 때다.
또 연구개발(R&D) 평가 체계로 사업화를 유인하기보단, 연구자가 공격적으로 창업할 수 있는 기반이 필요하다. 기술이전은 한정된 보상을 연구자와 수요기업 간 나눠가지는 방식이라 강력한 동기부여가 되긴 어렵다.
하지만 연구자가 경영 주체가 된다면 기술이 확산되는 만큼 보상을 얻는다. 생산단가 등 기술 전주기 끝단까지 신경써야 하는 이유가 생긴다. 기술사업화를 가로막던 간극이 메꿔진다.
과기정통부가 올해 추진하는 기술사업화 전문회사도 보탬이 될 것이다. 이는 사업 초기 스케일업과 홍보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개별 연구자만으론 해내기 어렵던 부분을 공적 지원으로 메꿔준다.
기술사업화가 무분별하게 '평가 족쇄'로 작용하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사업화가 적절한 연구가 있고, 수월성 있는 기초연구처럼 당장의 수익을 바래선 안 되는 분야도 있다.
유상임 장관은 산자부, 중소벤처기업부 등 범부처 협력이 필요한 과제라고 말한다. 백년대계 시스템을 만든다는 일념으로 부처가 머리를 맞대길 바란다.
legomaster@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