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페이크 성범죄영상물 시정요구, 전년 동기 대비 2.6배 증가
방심위 "생성형 AI 부작용 본격화…적극 대응"
- 양새롬 기자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딥페이크 성범죄 영상물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면서 올해 1분기 통신사업자에게 딥페이크 성범죄 영상물 관련 삭제 또는 접속차단 등을 요청하는 시정요구 건수가 전년 동기 대비 2.6배 늘었다고 23일 밝혔다.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을 악용한 딥페이크 성범죄 영상물 유통 조기 차단을 위해 적극 대응한 결과라는 게 방심위 설명이다.
실제 딥페이크 성범죄 영상물 시정요구 건수는 2023년 1분기 1000건에서 지난해 1분기 3541건으로 늘고, 올해 또다시 9443건으로 증가했다.
특히 2023년에 비해 시정요구 건수가 10배 가까이 증가한 것은 생성형 AI 기술의 부작용이 본격화되고 있음을 방증한다며, 방심위는 이러한 추세가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올해 1분기 디지털성범죄정보 전체 시정요구 건수 또한 2만 8451건으로 이 또한 전년 동기 대비 약 70%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방심위 관계자는 "공공장소 불법촬영, 미성년자 성착취 및 딥페이크 성범죄 영상물 등 각종 현안에 적극 대응하고, 악성정보 수사의뢰, 국내·외 유관기관 공조 등 다각적인 조치를 통해 디지털성범죄정보 유포를 조기에 차단하는 등 엄정 조치할 것"이라고 말했다.
flyhighro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