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바다 위에서도 유튜브 본다…'저궤도 위성통신' 곧 韓 상륙

과기정통부, 제도 개선 마무리…"올해 내 서비스"
저궤도 통신위성 개발 주관연구개발기관도 선정

김남철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전파정책국장이 2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저궤도 위성통신 등 주요 전파정책'과 관련해 설명하고 있다. 2025.4.22/뉴스1 ⓒ 뉴스1 양새롬 기자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청년 선원의 장기 승선 기피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선내 인터넷 환경이 개선될 전망이다. 정부가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면서 스타링크, 원웹 등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가 곧 한국에 상륙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해부터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의 국내 도입을 위한 제도적 준비를 단계적으로 수행해 왔다며 27일 이같이 밝혔다.

올 2월에는 주파수 분배표를, 지난달에는 기술기준과 전파법 시행령을 개정함으로써 국내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 이용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했다는 설명이다.

특히 개정된 전파법 시행령은 이동 수단에서도 고속 위성통신이 가능한 이동형지구국 3종을 정의하고, 위성통신 안테나(단말) 허가의제 도입으로 개별 이용자의 별도 허가 신청과 신고 절차를 생략해 이용자의 편의를 제공했다.

스페이스X는 안테나 적합성평가, 국경간 공급 협정 승인을 받으면 국내에서도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선박과 항공기 등 기존 인터넷 취약지역의 통신 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남철 과기정통부 전파정책국장은 이와 관련 "해양수산부 등에 따르면 원양어선에 청년을 채용 못 하는 이유 중 하나로 인터넷 서비스가 꼽혔다"며 "배에 모뎀을 설치하면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영상통화 등을 제공할 수 있게 될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김 국장은 "금년중 서비스가 확실히 개시되지만, 날짜는 특정할 수 없다"면서 "사업자들이 국내법에 맞게 사업계획서를 충실히 마무리하면, 그 시기에 맞춰 서비스될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다만 이는 당장 휴대전화 단말에서 쓸 수 있는 서비스는 아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한편 과기정통부는 우주항공청과 함께 '6G 국제표준 기반의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과제의 세부과제별 주관연구개발 기관도 선정해 이날 발표했다.

오는 2040년 740조원 규모로 커질 위성통신 시장에 대비해 저궤도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을 통해 핵심기술을 자립화하고, 국내 기업들의 글로벌 위성통신 시장 공급망 진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한 이 사업에는 2030년까지 총 3200억원이 투입된다.

통신탑재체·지상국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단말국은 쏠리드(050890), 본체·체계종합은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각각 맡는다.

과기정통부는 각 연구기관 간 긴밀한 협력관계가 필수인 만큼 ETRI를 총괄기관으로 지정해 유기적인 협력체계를 유지한다는 계획이다.

김 국장은 "기술개발은 차질 없이 진행해 원래 목표대로 2030년까지 기술개발을 마치고 저궤도위성 2기를 발사할 것"이라고 소개했다.

flyhighro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