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세대 발사체·K-위성항법 관리…현안 산적에 인력 부족 항우연
3.7조 KPS 사업, 항우연 관리 책임 강화 논의…"인력 증원해야"
"차세대 발사체 재사용화도 버거워…누리호 4차 발사 오전 1시"
- 윤주영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차세대 발사체 사업의 재사용화 변경,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KPS) 사업 관리 강화, 연말 누리호 4차 발사 등 현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현안이 산적했다.
다만 이를 위한 연구 인력이 충분치 못해 연구원 안팎으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29일 서울 중구에서 진행된 이상철 항우연 원장 취임 100일 기념 간담회에선 이런 내용이 공유됐다.
현재 기관이 참여하는 사업 중 가장 큰 규모는 다부처 사업으로 진행되는 한국형 위성항법 시스템(KPS) 사업이다. 2035년까지 예산 3조 7000억 원가량이 투입된다.
그간 범부처 독립 사업단으로 운영된 KPS 사업은 관리 주체가 명확지 못해 설계 지연 등 논란을 겪었다. 우주청은 사업의 관리 강화를 위해 항우연 원장 직속으로 사업단을 두겠다는 계획이다.
이상철 원장은 "한국 인접 지역에 최적화한 내비게이션 등에 쓰일 수 있는 사업이다. 그런데 문제는 우리나라 항법 전문가가 충분치 않다"며 사업 지연을 풀이했다.
항우연이 주 관리를 맡게 될 경우 KPS 인프라에 쓰일 위성 개발 등 인력을 원내 차원에서 충원할 가능성이 있다. 위성 추진 시스템 등 기존 인력의 겸업이 예상된다.
문제는 차세대 발사체의 재사용화 추진 등 다른 현안만으로도 항우연의 리소스는 한계란 점이다. 당초 소모성 발사체로 기획된 차세대 발사체를 재사용 발사체로 바꾸려면 착륙 유도항법, 역추진, 자세제어 등 요소 기술별 추가 연구개발(R&D)이 필요하다.
하지만 사업 체질 개선에 필요한 예산 증액도 한정적인 데다, 기한을 늘리는 것은 현재로선 거의 불가능하다. 이 발사체로 2032년까지 우리 달 착륙선을 달로 수송해야 하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최근 항우연의 인력 증원 요청도 제대로 받아들여지지 못했다.
이상철 원장은 "출연연 정원은 세금 문제기도 하고 기획재정부 등과의 협의가 필요해 기관의 바람처럼 되는 것은 아니다"면서도 "(우주 산업이) 세계적 추세를 따라가야 하는 만큼 여러 사업을 제대로 완수하려면 인력 증원은 필요하다. 이를 설득하는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 밖에도 기존 인력의 민간기업 이직 등도 인력난에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원장은 "원의 내부 구성을 바꾸는 방법도 가능하다. 누리호 고도화 사업이 완수되면 이 인력을 차세대 발사체나 달 착륙선 사업, 행성간 우주수송 사업 등에 이동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 원장은 전직 연구원 등에 의한 기술 유출 논란, 누리호 4차 발사 계획 등도 설명했다.
이 원장은 "경찰 수사 단계라 구체적인 건 말씀드리기 어렵다. 6월쯤 결과가 나올 것"이라면서도 "한두명 직원이 자료를 외부로 반출하는 과정에서 보안성 검토 등 절차를 위반했다"고 말했다.
올해 11월 누리호 4차 발사는 날짜는 정해지지 않았으나 오전 1시쯤으로 가닥이 잡혔다. 주 탑재체인 차세대 중형위성의 임무궤도 진입에 최적화한 시간대란 설명이다.
legomaster@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