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고려대·KAIST·DGIST·국민대, AI 신진연구자 지원 컨소시엄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1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뉴스1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인공지능(AI) 분야 신진연구자 지원 사업(AI스타펠로우십지원)에 올해 참여할 4개 대학 컨소시엄을 신규 선정하고 지원에 나선다고 30일 밝혔다.

4개 대학 컨소시엄은 각 대학 연구실의 신진연구자와 각 분야 선도기업이 함께 협력해 AI 분야의 혁신·도전적인 공동연구 프로젝트를 제시한다. 신진연구자가 혁신적인 연구에 몰두해 최고의 AI 인재로 거듭날 수 있도록 연구성과 인센티브 지급 및 연구개발 환경 개선 등 실질적 도움이 될 수 있는 차별화된 운영계획을 제시했다.

고려대학교는 차세대 에이전트 기술 개발을 중심으로 신뢰형 도심 완전자율주행 모델, 온디바이스 AI, 분자 모델 기반 화학 에이전트에 특화된 연구 인력을 양성한다. 현대자동차, 삼성전자, LG AI연구원 등과 협력해 산업계 수요 기반의 도전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지식체계 확장가능 AI 추론모델 및 바이오·의료 응용 프로젝트를 통해 의료지식 기반 소형 언어 모델(SLM), 고성능 추론 인공지능 및 바이오 온톨로지 기반 기술을 개발한다. 삼성서울병원, 네이버클라우드, 히츠와 산학협력을 통해 바이오·의료 AI 융합 전문가를 육성한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인간중심 공생적 내장형 AI 시스템을 기반으로 인간-피지컬AI 공생 기술, 실시간 내장형 인공지능 플랫폼, 다중모달 신호 처리용 NPU 설계를 추진하며 LG전자, 코카로보틱스㈜, 퓨리오사AI와 함께 첨단 융합기술 기반 연구자를 양성할 계획이다.

국민대학교는 로봇 특화 생성 AI 기술, 가상-현실 통합 플랫폼 연구를 추진하며, 바이브컴퍼니, 레인보우로보틱스, 케이알엠과 협업해 로봇 및 실감형 AI 분야의 특화 연구자를 양성한다.

정부는 AI 융합 분야 신진연구자가 프로젝트 리더(PL)로서 직접 이끌어가는 창의·혁신적인 연구 프로젝트에 2025년부터 2030년까지 총 460억 원(과제당 매년 20억 원, 1차 연도 15억 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송상훈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향후 연구기관 및 참여 기업의 협력을 통해 신진연구자들이 글로벌 최고의 AI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파격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yjra@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