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범부처 협업해 기술사업화 생태계…기술벤처 전주기 지원"

"ICT 영역부터 빠르게 계획 수립될듯…산자부 협의는 미완료"
"출연연이 거점 역할…지자체 연계 대학 성과 확산 RISE 사업"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범부처 기술사업화 유관부처는 공동으로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을 서울 중구 포시즌스 호텔에서 진행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발언하는 모습./뉴스1 ⓒ News1 윤주영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정부가 연구개발(R&D) 성과를 산업 현장으로 확산하는 '기술사업화' 비전을 범부처 차원에서 선포했다. 정부출연연구기관(출연연)을 기술사업화 거점으로 삼고, 창출된 연구 성과를 창업으로 연계시키는 기술사업화 종합전문회사도 육성한다.

가장 정책이 빠르게 적용될 영역으로 정보통신기술(ICT) 분야가 꼽힌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5월 중 관련 사업화 비전을 선포할 예정이다.

다만 협업 핵심 부처인 산업통상자원부와의 협의가 아직 완료되지 못했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교육부·중소벤처기업부·식품의약품안전처·우주항공청·질병관리청 등 기술사업화 관계 부처와 함께 서울 중구에서 '국가 기술사업화 비전 선포식'을 개최했다.

이번 비전은 다부처가 참여하는 데 방점이 찍혔다. 그동안 과기정통부는 기술사업화를 한편으로 다뤄왔지만, 단일 부처만으론 실효성 있는 정책이 힘들었다.

과기정통부는 유관 부처와 함께 기술창업·이전 기업의 성장 전주기를 속도감 있게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우선 출연연을 기술사업화 거점으로 육성한다. 관련 투자뿐 아니라, 인사·평가 등에서의 인센티브를 강화한다.

대학 연구성과 확산의 경우 교육부 주관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이 도움이 될 전망이다. 교육부는 대학 기술지주회사에 적용되는 규제를 완화하고, 4대 과학기술원은 우수 특허를 조기 발굴한다.

아울러 기술사업화 종합전문회사를 육성한다. 연구 현장에서 발굴된 기술을 창업으로 연계시키는 역할을 한다. 종합전문회사는 창업보육, 후속 투자 등 공공 기술의 전주기 사업화를 지원한다.

정부는 향후 창업 유망기술을 보유한 '혁신창업 실험실 지원' 사업을 전개할 예정이다. 딥테크 연구소기업도 2030년까지 500개 육성한다.

전략기술 분야 우수 대학연구소는 R&D의 전반적 역량 및 전문인력 지원을, 출연연은 연구 노하우 및 시설·장비 지원 등을 맡게 된다. 보건의료 분야에서는 공백영역 기술 서비스를 제공한다.

기술벤처를 위한 전주기 금융 지원도 마련한다. 공공기술 사업화 펀드, 우수기업 정책금융 지원, 사업화 유망기업 기술금융 지원 등을 강화한다.

부처별로 지역 연계 지원도 강화한다. 농식품분야는 지자체가 참여하는 실증 R&D 사업을 추진한다. 보건의료분야는 오송·대구에 창업센터를 구축한다. 우주분야는 경남·전남·대전에 특구를 지정·육성한다.

마지막으로 정부는 부처별 기술매칭 플랫폼 간 연계를 강화한다. 기업부설연구소 대상 공공기술 및 인력 지원을 확대하는 한편 기술 중개전문가를 통해 우수 공공특허가 민간으로 이전되도록 한다.

이날 논의된 내용을 바탕으로 정부는 '국가 R&D 기술사업화 전략안'(가칭)을 수립할 예정이다.

legomaster@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