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이공계 인력난, 어떻게 해야"…과총·한림원·과방위 긴급포럼

13일 국회 '제1차 첨단과학기술 이공계 인재 양성 정책 포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제공)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학령인구 감소, 의대 쏠림에 더해 이공계 인재 해외 유출로 한국 과학기술계의 인력난이 심화하는 상황이다. 이에 대한민국 국회와 과학기술계 대표 학술단체가 한자리에 모여 해결책을 모색한다.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이하 과총)는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및 조인철 더불어민주당 의원,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 등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의원들과 공동으로 이달 13일 오전 국회의원회관에서 '제1차 첨단과학기술 이공계 인재 양성 정책 포럼'을 연다고 12일 밝혔다.

포럼은 '이공계 위기 시대,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위한 해법 모색'을 주제로 이공계 인력 현황, 과학기술 인재 정책의 효과 등을 진단하고 해결 방안을 논하는 자리다. 발제는 박기범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선임연구위원과 김영오 서울대 공과대학장이 맡는다.

박기범 선임연구위원은 '과학기술 인재 위기 시대의 대학 연구개발(R&D) 혁신 방안'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박 선임위원은 2000년대 초반부터 시행된 과학기술 인재 정책이 가진 한계와 낮은 효율성·효과성 등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 방안으로서 △과학기술 인재의 양성·활용을 최우선 가치로 설정한 R&D 정책 추진 △대학원생 안정적 생활비 지원 △대학 단위 블록펀딩 방식 R&D 지원 등을 제시할 예정이다.

이어 김영오 학장은 '대학 현장에서 본 이공계 인재 위기와 미래 양성 방향'을 주제로 인사이트를 공유한다. 김 학장은 서울공대의 학부생 입학·자퇴·진로 현황과 서울공대가 자구책으로 마련한 국내외 초우수 공학 인재 지원 프로젝트 등을 소개할 예정이다.

아울러 과학고·영재교, 과학기술원 모델을 일반 학교에도 확대 적용, 국가 주도의 '인공지능(AI) 혁신 연구원' 설립 등을 할 것을 제안할 계획이다.

토론에는 이원용 연세대 연구부총장이 좌장을 맡고, 유재준 서울대 자연과학대학장, 문승현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 총장, 김용삼 진코어 대표이사, 장원우 고려대 박사과정생, 장주애 성균관대 박사후연구원 등이 토론자로 참여한다. 이들은 기초과학·지역·산업현장·대학원생·박사후연구원·여성 등 분야별 인재 문제를 세분화해서 살펴보고, 현장 의견을 수렴해 해결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포럼 후 2차 포럼은 글로벌 인재 확보 방안 등을 주제로 상반기 개최될 예정이다.

legomaster@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