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트렌드는 대규모 융합 연구…인프라 강점 출연연 힘 합쳐야"
국가과학기술연구회 '출연연 AI 연구개발(R&D) 세미나'
- 윤주영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인공지능(AI) 연구가 단순 알고리즘 개발을 넘어 파운데이션 모델을 중심으로 한 대규모 융합 연구로 패러다임이 전환하고 있다는 관측이다. 대규모 연구에 강점이 있는 정부출연연구기관(이하 출연연)이 힘을 합쳐 연구를 선도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는 14일 세종국책연구단지에서 '출연연 AI 연구개발(R&D) 세미나'를 열고 출연연의 AI 기술 개발 전략과 국가적 기여 방향을 모색했다.
세미나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KIER)·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한국원자력연구원 등 주요 출연연을 비롯해 무역정보통신, 법률, 민간 기술기업 전문가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AI 분야 현황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용주 ETRI 시각지능연구실장은 "AI 반도체, AI 탑재(파워드) 휴머노이드, AI 안전 등 관련 산업의 집약을 통한 선순환"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서 출연연 AI R&D 및 인재 육성에 아낌없이 투자해야 하며, 출연연 간 칸막이를 없애는 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제현 에너지연 에너지AI·계산과학실장은 연구에 몰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려면 연구자에게 부가적인 행정 업무가 지워지지 않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최근 발달하고 있는 언어 모델들이 업무를 대체할 수 있을 거로 이 실장은 기대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참석자들은 출연연 AI R&D의 국가기여 발전 방향을 모색했다. 이들은 앞으로의 AI 연구가 대규모 융합 연구로 전환하는 만큼, 출연연 간의 인프라·데이터 협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익재 KIST AI·로봇연구소 소장은 "최근 AI 연구는 단일 알고리즘 개발을 넘어서 파운데이션 모델 중심의 대규모 융합 연구로 패러다임이 전환하고 있다"며 "우리 정부도 전문가 집단 기반의 협업 구조를 갖춘 출연연을 중심으로 해서 대규모 AI R&D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경하 KISTI 초거대AI연구센터장은 "출연연의 장점은 대학이 하기 어려운 규모가 큰 연구를 공익성을 가지고 추진할 수 있다는 것"이라며 "AI R&D를 가속할 수 있는 연구 장비·시설·데이터 등을 공유해야 이런 장점을 살릴 수 있다"고 말했다.
유용균 원자력연 AI응용연구실장은 "각자의 분야에서 AI를 단순히 도구로만 활용하는 수준에 머물러선 안 된다"며 "AI를 중심으로 각 출연연 간 기관의 벽을 허물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legomaster@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