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발사체 꿈 크게 잡아야" 나로호부터 지휘한 노경원 우주청 차장

[우주청 1주년]노경원 차장 "판 키워 우주기업 옥석 가려야"
"시작은 강소 스타트업도 폭넓게 육성…소규모 위성사업 늘려야"

노경원 우주항공청 차장(우주항공청 제공)

(사천=뉴스1) 윤주영 기자 = "그간의 우주 연구개발(R&D) 사업은 목표 스펙이 보수적으로 잡혀 아쉬움이 있었다.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트렌드에 맞추려면 도전적으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노경원 우주항공청 차장은 이달 12일 인터뷰를 가지고 과거 우주개발 사업에서 느꼈던 후회를 공유했다.

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 전략기술개발관, 연구개발정책실장으로 재직하며 나로호·누리호 등 굵직한 사업들을 지휘한 경험이 있다.

노 차장은 "우주 사업은 장기간에 걸쳐 수행된다. 사업 담당자가 기술 목표, 예산 등을 지나치게 낮게 설정하면 이것이 향후 족쇄로 작용한다"며 "과기정통부가 우주개발을 주도할 적엔 전문성이 부족한 내부 결정권자가 외부 자문에 의존해야 했다. 목표가 보수적으로 잡혔던 원인 중 하나"라고 설명했다.

이에 우주항공청이 출범하게 됐다. 민간 전문가 출신의 임기제 공무원 등으로 인력을 꾸려 기술 트렌드에 맞는 임무 방향을 설정하겠다는 취지다.

또 노 차장은 "한국은 우주 개발의 선도국이 아닌 추격자, 즉 세컨드 무버"라며 "세컨드 무버에 맞는 전략은 선도국이 겪은 시행착오는 건너뛰고 더 나은 기술적 목표를 겨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이유로 노 차장은 주력 발사체로 개발 중인 차세대 발사체가 재사용 발사체로 변경돼야 한다고 강조한다.

다양한 재사용 요소 기술이 개발돼야 하고, 예산·시간 등이 촉박하기 때문에 연구계 일각에선 도전을 우려하기도 한다. 하지만 검증이 완료된 재사용 기술이라면 한국도 속도감 있게 실증할 수 있다고 노 차장은 강조한다.

특히 차세대 발사체는 아직 설계 초기기 때문에 바꿀 수 있을 때 바꿔야 한다고 노 차장은 덧붙였다.

노 차장은 우주청 내에서 예산 집행을 총괄하는 등 살림꾼 역할을 하고 있다. 그는 우수한 기업들이 우주 산업에 뛰어들 수 있도록 시장 파이를 키우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

노 차장은 "우주청 목표는 글로벌 우주산업 매출의 10%를 차지하는 것이다. 위성 데이터를 가공하는 '다운스트림' 등 유망한 분야로 국내 클라우드·통신 기업 등의 유입을 적극 타진하겠다"며 "올해 70억 원 규모로 잡힌 뉴스페이스 모태펀드 등 투자금도 앞으로 늘어야 한다"고 말했다.

판을 벌이면 우수한 기업들이 유입되고, 경쟁을 통해 옥석이 가려질 수 있다. 기업이 우후죽순 생겼다가 대여섯개 대표 기업들로 수렴된 중국 전기차 시장을 생각하면 된다는 것이다.

다만 현재로선 대기업 등 특정 생태계만을 집중 육성하지는 않겠다고 노 차장은 덧붙였다.

노 차장은 "한국에도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이노스페이스 등 우수한 발사체 스타트업들이 있다. 아직 우리는 시작 단계기 때문에 가능성을 폭넓게 열어두고 강소 기업에 기회를 줘야 한다"며 "대형위성 발사 위주로 발주되던 기존 사업 방식에서 벗어나 스타트업들도 도전할 수 있는 소규모 위성 사업을 많이 개방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legomaster@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