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ASA 29년 존리 본부장이 본 R&D 해법…"예산 유연성 늘려야"
[우주청 1주년]존 리 우주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 인터뷰
"임무 목표 설정 후 기술 고려해야…R&D 지재권 민간 확산 필요"
- 윤주영 기자
(사천=뉴스1) 윤주영 기자 = "미국의 우주 연구개발(R&D) 예산은 개별 프로젝트가 아닌, 이를 아우르는 '프로그램' 단위에서 조정이 가능하다. 변동 여지가 넓기 때문에 장기 임무라도 수월하게 끝낼 수 있다."
미국 항공우주청(NASA)에서 29년간 프로젝트 관리 등을 수행한 존 리 우주항공청 우주항공임무본부장은 이달 13일 인터뷰를 가지고 이같이 말했다.
이는 한국의 R&D가 따라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 R&D는 예비타당성 조사(예타)를 거치면 쉽사리 예산·내용 등을 바꾸기 어렵다.
장기 임무가 대부분인 우주 R&D는 완수까지 여러 위험이 있어 안정적인 지원이 필수적이다. 재사용 발사체 등 새로운 대세 기술이 등장하면 R&D 내 추가 개발이나 예산 증액이 필요하다.
기술 변화가 가속하는 만큼 한국의 R&D 제도 역시 예산·계획 변동 등이 수월해져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역시 비슷한 이유로 예타 폐지를 추진 중이다.
또 존 리 본부장은 특정 기술의 성숙화에 집착하기보단, R&D의 임무 목표부터 설정하는 게 적절하다고 덧붙였다.
그는 "NASA는 목표를 먼저 정하고, 여기에 맞는 기술적 설루션을 모색한다"고 부연했다.
우주청의 출범 취지인 민간으로의 우주개발 이양 관련해서는 지식재산권(IP) 제도 개선을 주문했다. 그간 정부출연연구기관 위주로 축적된 IP를 민간으로 적극 확산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존 리 본부장은 "한국 R&D만의 제도적 역사가 있어 쉽지 않은 문제로 안다"며 "다만 일찍부터 보잉, 록히드 마틴 등 기업과 개발을 함께 하며 지식을 적극적으로 전수한 NASA 선례를 참고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부뿐 아니라 기업 차원의 노력도 필요하다. 국책 R&D에 의존해선 한계가 있고, 해외 판로개척 등 투자에 나서야 한다는 것이다.
궤도간 이송선(OTVs) 등 우주 환경의 변화를 공략할 수 있는 새 비즈니스 모델(BM)을 찾는 것도 방법이다. 우주로 발사되는 자산이 늘어나면서 여러 임무궤도 사이로 물자·인력·연료 등을 옮기는 OTVs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존 리 본부장은 설명했다.
존 리 본부장은 "국내서도 OTVs 시장을 공략하려는 기업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이런 기업들이 투자받을 수 있게끔 도와주는 게 우리 청의 숙제"라고 말했다.
한편 존 리 본부장은 우주청이 2035년까지 완수하려는 '라그랑주점 L4' 탐사의 필요성을 다시금 강조했다. 천체 간 중력이 평형을 이뤄 우주 자산을 안정적으로 배치할 수 있는 '명당'으로 불린다.
구체적으로 이곳에 태양폭풍 관측소를 설치, 향후 늘어날 우주 자산을 보호한다는 계획이다.
존 리 본부장은 "미래에 우주 자산이 늘어나면 태양 폭풍의 여파도 따라 커진다"며 "예보 인프라 선점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legomaster@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