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클라우드, 영상 편집 32시간→2시간 줄여줄 AI 도구 공개
영상 내 인물, 행동, 음성 등을 AI로 분석해 메타데이터 생성
검색만으로 원하는 장면 빠르게 찾아 편집할 수 있어
- 손엄지 기자
(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 = 네이버클라우드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KOBA 2025'(국제 방송·미디어·음향·조명 전시회)에서 영상 분석 서비스 'MAIU'(Media AI Understanding)를 공개했다고 21일 밝혔다.
현재 국내 방송사와 파트너사를 대상으로 클로즈드 베타 서비스(CBT) 중이고, 내달 정식 공개한다.
MAIU는 영상 내 인물, 행동, 배경, 음성 등 다양한 정보를 인공지능(AI)이 자동으로 분석해 메타데이터를 생성하고, '와인잔 나오는 장면' '남주인공 달리는 장면' 등 텍스트 검색만으로 원하는 장면을 빠르게 찾을 수 있는 독보적인 서비스다.
방송사, 영상 제작사 뿐 아니라 유튜브, 숏폼(짧은 동영상) 콘텐츠 등 수많은 영상 제작자들이 반복적인 편집 시간을 줄이고 창의적인 작업에 집중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MAIU를 활용하면 영상 제작에서 가장 많은 시간이 드는 메타데이터 추출 및 가편집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
보통 예능 프로그램 1편 제작 시 3600분에 해당하는 영상을 촬영한다. 기존에는 편집팀이 약 32시간을 들여 3, 4일에 걸쳐 분석과 가편집을 마쳤다면 MAIU를 활용하면 2시간 이내로 끝낼 수 있다. 15배 이상의 시간이 단축되는 셈이다.
회사 측은 "기존 AI 분석 서비스는 일반적으로 개별 프레임 단위의 탐지나 객체 인식에 국한되어 있어 영상 콘텐츠의 흐름이나 맥락 이해가 어려웠지만 MAIU는 영상의 의미 단위인 구간(scene)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장 큰 차이점"이라 설명했다.
즉, 프레임이나 샷 단위가 아닌 이야기의 흐름이나 구성상 자연스러운 구간 단위로 분석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콘텐츠를 편집하거나 재가공할 때 훨씬 직관적이고 현업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구조로 제공할 수 있다.
사용 요금은 글로벌 경쟁 제품 대비 최대 3분의 1수준으로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또 MAIU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모바일 라이브 스트리밍, VOD 영상 송출 등의 기능을 동일 플랫폼 내에서 함께 활용할 수 있어 제작부터 송출까지의 전 과정을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다.
eo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