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 치료 필수' 방사성 요오드·악티늄 국내서 생산·공급
과기정통부, 방사성의약품 개발 촉진 간담회 개최
악티늄 생산 허가·요오드 GMP 허가 획득
- 나연준 기자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암 치료에 필수적인 방사성 요오드(I-131)와 악티늄(Ac-225)의 안정적인 국내 생산·공급이 가능해질 전망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한국원자력의학원에서 방사성의약품 관련 4개 기업, 방사성의약품 및 핵의학 전문가 등과 함께 '의료용 동위원소 자립 및 방사성의약품 개발 촉진을 위한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다.
최근 갑상샘암 치료에 사용되는 방사성 요오드의 해외 공급이 중단되면서 국내 진료에 차질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신경내분비암 및 전립선암 환자 치료에 사용되는 악티늄은 전량 수입에 의존해 환자들이 해외에서 치료받아야 하는 상황이 수년간 지속되어 왔다.
이날 간담회에서 한국원자력의학원은 지난 12일 사이클로트론 기반의 악티늄 생산 허가를 획득함에 따라 국내 최초 생산을 위한 기반을 마련했다. 임상 연구 중인 악티늄 치료제 개발이 완료된다면 악성 전립선암, 신경내분비종양 등 난치‧희귀암의 국내 치료가 가능해질 전망이다.
또한 한국원자력연구원은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요오드의 GMP(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품목허가를 획득, 해외 공급에 차질이 있어도 국내에서 안정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체계를 갖출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간담회 이후 한국원자력의학원은 4개 방사성의약품 기업(SK바이오팜, 새한산업, 셀비온, 퓨쳐켐)과 함께 '알파신약 연구협의체' 구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하였다. 악티늄, 아스타틴(At-211) 등 알파입자 방출 동위원소를 활용한 치료제의 신속 개발, 규제 개선안 마련, 국가 R&D 과제 발굴‧제안 등을 공동으로 추진해 향후 치료제 국산화와 사업화를 앞당길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더 이상 국민의 건강과 직결된 핵심 동위원소를 해외에 의존해서는 안 되며, 이번 악티늄 생산 허가와 방사성 요오드 GMP 품목허가는 핵심 동위원소 자립에 있어 큰 첫걸음"이라며 "정부도 동위원소 생산 인프라 구축, 방사성의약품 개발 R&D 지원 확대 등 핵심 동위원소 100% 자급을 위해 적극적으로 뒷받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yjra@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