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과기부, 美 방문해 트럼프 정부 과학기술 협력 의제 발굴

카이스트-MIT, AI 협력 플랫폼 구축현황 계획 점검
재미 한인 과학자 만나 KBB 구축·운영 계획 소개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왼쪽)과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수딥 파리그(Sudip Parikh) CEO가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서울=뉴스1) 손엄지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2일부터 14일까지 미국을 방문, 미국 과학 기술계 주요 인사와 재미한인과학자를 만나 트럼프 신정부 과학기술 협력 의제를 발굴하고 협력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시간을 가졌다고 16일 밝혔다.

이창윤 과기정통부 제1차관은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연례 회의가 열리는 미국 보스턴을 찾아 미국 과학계 주요 인사를 면담했다.

美 과학기술계와 협력 네트워크 구축

이 차관은 지난 14일(현지 시각) 마샤 맥넛(Marcia McNutt) 미국과학한림원(NAS) 원장, 수딥 파리크(Sudip Parikh) 미국과학진흥협회(AAAS) 최고경영자(CEO) 등 주요 인사와 각각 면담을 진행했다.

해당 인사는 모두 '미국 과학기술 비전'(The American Vision for Science and Technology)을 위한 태스크포스(TF)에 참여 중인 인사다.

이 차관은 트럼프 행정부의 과학기술 정책 방향 예측을 청취했다. 트럼프 신정부에서도 한미 과학기술 협력이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에 자문 역할을 담당해 온 양 기관에서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지지해달라고 요청했다.

MIT 듀안 보닝(Duane Boning) 국제협력처장(왼쪽에서 3번째), 앤 화이트(Anne White) 연구행정처장(왼쪽에서 2번째)과 면담을 진행했다. (과기정통부)

한미 글로벌 R&D 협력 모색

이 차관은 앞서 12일(현지 시각) 보스턴에 위치한 민간 핵융합 기업인 CFS를 방문해 한국 연구계·산업계와 미국 CFS 간 핵융합 협력 기회를 모색했다.

13일에는 MIT를 방문해 국제협력처장 등 주요 관계자와 면담했다. 현재 추진하고 있는 한국 연구기관과 MIT 간 협력사업에 적극적 지원을 당부했다.

이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AIST)-MIT 간 협력 플랫폼 구축 현황과 계획을 점검했다. KAIST와 MIT는 현재 AI와 로보틱스를 기반으로 미래 에너지 소재 분야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다.

뉴잉글랜드 생명과학협회(NEBS), 재미 한인 제약인협회(KASBP) 등 재미 한인 생명과학기술자들과의 간담회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과기정통부 제공)

재미 한인 과학자의 역할 강조

이 차관은 14일 뉴잉글랜드 생명과학협회(NEBS), 재미 한인 제약인협회(KASBP)가 참여하는 재미 한인 생명과학기술자와의 간담회를 주재했다.

해당 간담회에는 KIST도 참석해 향후 보스턴 센터(KBB) 구축·운영 계획을 소개하고 해당 센터의 역할과 기능 정립에 있어 재미 한인들의 의견을 청취했다.

KBB는 출연연이 보유한 우수 기술의 글로벌 사업화를 목적으로 현지 기관·단체들과 협력 기반을 구축하고 해외시장 진출을 맞춤형 밀착 지원하는 역할 수행한다.

마지막으로 이 차관은 재미 한인들과 해외 우수 연구 인력을 국내로 유치하는 방안도 논의했다.

eo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