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빙-웨이브, 합병으로 체급 키워야 K-콘텐츠 경쟁력 지킨다"
한국방송학회 세미나…전문가 "정책 지원도 이뤄져야"
- 양새롬 기자
(서울=뉴스1) 양새롬 기자 = 한국 콘텐츠의 글로벌 경쟁력 기반을 지켜내기 위해서는 강한 글로컬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존재감을 키우는 것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전문가 주장이 나왔다. 즉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을 통해 내실부터 다져야 한다는 것이다.
조영신 퓨처랩 박사는 29일 오후 한국방송학회가 주최한 '한국 미디어 콘텐츠 산업, 글로벌 전환의 가능성을 묻다' 기획세미나에서 이같이 밝혔다.
조 박사는 "국내에서 한국 OTT들은 과도한 투자로 인한 손실 규모가 커져서 제대로 운영되기 어려운 상황"이라며 "입으로는 넷플릭스 종속 문제를 이야기하면서도 국내 방송사업자들은 스스로 자신의 콘텐츠를 글로벌 OTT에 제공하는 구조를 만들어내고 있다"고 짚었다.
이어 "이런 상황에서 대안처럼 등장하는 것이 글로벌 진출"이라며 "그렇지만 글로벌 시장에 나가면 어느 정도의 규모를 확보할 수 있을지 근거는 제시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조 박사는 "한국 콘텐츠를 사랑하는 사람이라 하더라도 넷플릭스 북미와 유럽의 총 가입자 1억6000만명 기준 1~2%인 160만~320만명 규모에 불과하다"며 "따라서 북미와 유럽을 겨냥한 한국형 OTT는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다.
그나마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가능하지 않겠느냐는 일각의 주장도 일축했다.
그는 "동남아시아는 넷플릭스와 같은 글로벌 OTT 사업자와 Viu와 같은 글로컬 OTT 사업자, 로컬 사업자와 중국 콘텐츠로 무장한 중국 OTT 사업자들이 각축을 벌이고 있는 시장"이라며 "도대체 어느 정도가 한국 콘텐츠를 따라 한국형 OTT로 갈아탈 지는 불분명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넷플릭스 1사 체제에서 최소한의 수요(Q)를 확보하기 위한 시작은 강력한 로컬 OTT에서부터 시작할 수밖에 없다"며 "글로벌 진출은 잠시 미뤄두더라도 강력한 로컬 OTT는 한국 콘텐츠 생태계를 위해 미뤄둘 수 없는 시급한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노창희 디지털산업정책연구소장도 다수의 사업자가 적자를 지속하며 출혈 경쟁을 하고있는 국내 OTT 시장의 구도에서 현실적으로 티빙과 웨이브의 합병을 통한 강력한 로컬 OTT 형성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다만 노 소장은 "합병만으로 모든 문제가 해결되는 것은 아니"라며 "건강한 미디어 생태계를 위한 전향적 규제 완화 등 정책적 노력도 함께 이어져야 한다"고 덧붙였다.
flyhighro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