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1500년 전 '화려한 빛깔'…신라 금동관서 '비단벌레 날개장식' 첫 확인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장식 사례는 처음
"신라 공예기술 보여주는 자료"

경주 황남동 120-2호분 금동관 출토 상태(국가유산청 제공)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경북 경주 황남동 발굴 조사 중 출토된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처음으로 확인됐다.

국가유산청은 경주시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의 일환으로 추진 중인 경주 황남동 120호분 발굴 조사 가운데 2020년 출토된 금동관 보존 처리 과정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금동관에서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발견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비단벌레 날개 장식은 황남동 120-2호분 출토 금동관에서 발견됐는데, 이 금동관은 3개의 4단 '출'(出)자 모양 세움장식, 2개의 사슴뿔 모양 세움장식, 관테로 구성돼 있다.

세움장식과 관테는 거꾸로 된 하트모양의 구멍을 뚫어 장식했는데, 이 구멍 뒤쪽에 비단벌레 날개가 붙어 있었다. 금동관 곳곳에 뚫은 구멍을 화려한 빛깔의 비단벌레 날개로 메워 장식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금동관 모식도 및 비단벌레 날개 확인 위치(국가유산청 제공)

비단벌레 날개 장식은 지금까지 모두 13곳에서 15장이 흡착과 흡수가 동시에 진행된 채로 발견됐다. 금동관 원래 위치에 그대로 붙어있는 날개 장식은 7장이었고, 나머지 8장은 관에서 떨어져 나와 주변에 흩어져 있는 상태였다.

금동관에 그대로 붙어있던 날개 장식 7장은 '출'자 모양 세움장식에서 3장이 겹친 상태였다. 나머지 4장은 원래의 위치에 한 장씩 붙어있었다. 현재 발견된 날개는 대부분 검게 변했지만, 부분적으로는 원래 빛깔이 남아 있는 것도 있다.

그동안 경주 황남대총 남분, 금관총, 쪽샘 44호 고분 등에서 출토된 말갖춤, 허리띠 등에 비단벌레 날개가 장식된 사례가 있었다. 하지만 금관이나 금동관에 비단벌레 날개 장식이 사용된 것은 120-2호분 출토 금동관이 최초다. 신라 공예기술에서 비단벌레 날개 사용 범위를 확장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비단벌레 날개 장식 상세 이미지)(국가유산청 제공)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금동관에서 보이는 '출'자 모양 세움장식이 학계에서 신라 왕족과 관련이 깊은 것으로 여겨지는 만큼 비단벌레 날개장식은 단순한 미적 표현을 넘어 착장자의 사회적 위상을 짐작하게 하는 동시에 화려했던 신라 공예기술과 지배계층 문화의 관계를 보여주는 자료로서 학술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국가유산청은 앞으로 황남동 120호분 발굴조사를 비롯한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의 성과를 일반시민 및 학계 연구자들과 지속해서 공유할 계획이다.

자연상태의 비단벌레(국가유산청 제공)

jsy@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