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인촌 "국립예술단체 지방 이전…균형 발전에 기여할 의무 있어"(종합)
관광에선 新 광역관광 개발…체육은 생애주기별 생활체육 활성화
2035년까지 중장기 문화비전 발표…6대 핵심과제 선정
-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이상철 기자,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이상철 기자 윤슬빈 여행전문기자
"국립예술단체가 지역에 내려가면 1~2년 동안이야 불편하겠지만 민간도 아니고" 국립단체라면 대의적으로 균형 발전에 기여할 의무가 있다"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장기 발전안 '문화한국 2035'를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중장기 발전안 '문화한국 2035'에 따르면 지역 문화를 균형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국립예술단체·기관를 지역으로 이전하거나 지역 분관을 확대한다고 명시했다.
유인촌 문체부 장관은 "어려운 시기지만 문체부가 흔들림 없이 해야할 일을 제대로 하자는 입장에서 '문화한국 2035'를 마련했다"며 "지역소멸과 저성장 고착화 등 우리가 풀어가야할 과제를 정말 많이 쌓였다"고 밝혔다.
용호성 문체부 1차관도 이 자리에서 "국립예술단체·기관 지역 이전하고 협력 모델도 다시 만들겠다"며 "국립현대미술관 등 국립문화기관의 지역 분관도 확대하겠다"고 했다.
용 차관은 "국립예술단체가 서울에 거점을 둔 상태에서 지역 공연 확대만으로는 지역 예술의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며 "서울예술단을 시작으로 2026년 하반기부터 국립극단, 국립오페라단, 국립발레단, 국립합창단, 국립심포니 오케스트라, 국립현대무용단 등이 단계적으로 지역으로 이전한다"고 말했다.
그는 "중앙 주도 방식이 아닌 지역의 수요에 바탕한 문화예술, 관광개발 사업 등을 통해 현장과 밀접한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앞으로의 정책 추진에 있어서 지역의 역할이 강화된다"고 덧붙였다.
유인촌 장관은 "예술단 이전 문제도 그 지역에 내려갔다고 해서 그 지역에서만 하는 것도 아니다"라며 "내려가면 1~2년 동안은 불편하겠지만, 민간도 아니고 국립단체라면 대의적으로 균형 발전에 기여할 의무가 있다"고 덧붙였다.
문체부는 또한 △문화도시 3.0 추진 △신 광역관광 개발 및 지역 생활인구 확대 △중앙-지역 수평적 협력체계 구축 등도 세부 과제로 제시했다
신 광역관광 개발도 '문화한국 2035'에서 눈에 띄는 대목이다. 기존의 관광개발은 정부 주도로 행정권역별로 추진하다 보니 중복투자, 지역 간 연계협력이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용호성 차관은 "행정권역의 경계를 넘어 초광역, 콘텐츠 중심 개발 사업을 추진하겠다"며 "매력도가 높은 콘텐츠를 중심으로 관광을 개발하겠다"고 밝혔다.
체육에서는 생애주기별 생활체육 활성화가 핵심이다. 용호성 차관은 "평생 운동습관을 형하고 학교 스포츠를 활성화하겠다"며 "장애인 생활체육도 빠트리지 않고 챙기겠다"고도 말했다.
한편 6대 핵심과제는 지역 문화 균형 발전을 비롯해 △저출생·고령화 등 사회 위기 문화적 대응 △콘텐츠·관광·스포츠 등 산업 생태계 혁신 △문화 분야 인공지능 대전환(AX) △세계 문화 리더십 제고 △문화 역량 제고 등이다.
저출생·고령화 등 사회 위기를 문화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수요자 중심 융·복합형 문화시설 조성 △생애주기 생활체육 활성화 △문화영향평가 제도 확대 △문화 다양성 정책 강화 △문화·체육·관광 통합 안전 체계 등을 시행한다.
산업 생태계 혁신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콘텐츠산업 국가경제 핵심산업으로 육성 △방한 외래객 3천만 명 시대의 관광산업 체계 구축 △스포츠산업의 고부가가치 성장산업화 △시장 중심 문화예술 생태계 조성한다.
문체부는 문화 분야의 인공지능 대전환(AX)을 위해 △인공지능(AI) 기술 대응 문화예술·콘텐츠산업 혁신 △인공지능(AI) 시대 저작권 체계 전면 개편 △문화예술·스포츠·관광 인공지능 대전환(AX) 지원 △공공 데이터 구축·활용·개방 체계 등을 마련한다.
세계 문화의 리더십을 제고에도 힘쓸 예정이다. 이에 △재외 한국문화원 운영 혁신 및 한류 거점 기관화 △국제문화교류 전문인력 양성 △수요 기반 문화 공적개발원조(ODA) 확대 및 협력체계 마련 △국가이미지 제고 통합마케팅 △남북 문화교류 전략적·단계적 추진 등을 준비한다.
마지막으로 문화 역량을 높이기 위해 △독서·문학 진흥 및 인문 가치 확산 △사회 문화예술 교육 확대 △예술·콘텐츠·관광 창의인재 양성 △엘리트 선수 육성시스템 선진화 △문화예술 지원 방식 개선 △분야(장르)별 진흥법 제정 및 지원체계 등을 구축한다.
유인촌 장관은 "문화정책의 중장기 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실현해 나갈 핵심과제를 제안한 만큼 문화계와 공유하고 관련 부처 및 기관과도 적극 협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art@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