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간 새단장 마친 '종묘 정전' 공개…조선 왕 신주도 돌아온다
155년 만의 환안제…20일 오후 진행
환안 행렬 후 고유제·준공기념식도 열려
- 정수영 기자
(서울=뉴스1) 정수영 기자 = 노후화된 목재와 균열 등 문제로 대대적인 수리 작업을 거친 종묘 정전이 5년 만에 새 모습으로 일반에 공개된다.
국가유산청은 오는 20일 대규모 수리를 마친 종묘 정전을 공개하고, 창덕궁에 임시로 모셨던 조선 왕과 왕비의 신주를 본래의 자리로 다시 모시는 '종묘 정전 환안제 및 준공기념식'을 연다고 16일 밝혔다.
종묘 정전은 1395년 태조 이성계가 창건한 이래 600년 넘도록 왕실 제례가 이어져 온 곳이다. 한국 전통 건축의 정수로 1985년 국보로 지정됐다. 그러나 구조적 균열, 기와 탈락, 목재의 노후화 문제가 지속해서 확인되면서 국가유산청은 2020년부터 2025년까지 5년에 걸쳐 대규모 수리를 진행했다.
국가유산청에 따르면 이번 수리는 1991년 이후 약 30년 만에 이뤄진 대대적인 공사로, 정전 앞 시멘트 모르타르를 제거하고 수제 전돌을 깔았다. 또 공장제 기와를 모두 걷어낸 뒤 수제 기와로 교체하는 등 전통 건축 기법과 재료를 토대로 하되, 현대 과학 기술을 접목했다.
종묘 정전 수리가 마무리되면서, 창덕궁 구 선원전에 2021년부터 임시 봉안됐던 신주를 다시 제자리로 모셔 오는 환안제가 20일 오후 2시 열린다.
155년 만에 이뤄지는 이번 환안제는 창덕궁 금호문 앞에서 시작해 광화문과 세종대로, 종로를 거쳐 종묘까지 약 3.5km 구간을 행진한다. 사전 모집한 200명의 시민 행렬단을 포함, 총 1100명이 행렬에 참여한다.
국가유산청은 "헌종 대 제작된 '종묘영녕전증수도감의궤'를 바탕으로 장인들이 특별히 제작한 신여, 신연, 향용정을 포함해 전국에서 확보한 총 28기의 가마가 도심 한복판을 가로지르는 보기 드문 장관이 펼쳐질 것"이라고 전했다.
환안 행렬이 종묘에 도착한 후 오후 6시 30분부터는 종묘 정전에서 고유제와 준공기념식이 진행된다. 고유제는 전주이씨대동종약원 주관 아래 200여 명이 참여해 전통 절차에 따라 열린다. 이어 준공기념식에서는 수리 과정을 담은 영상 상영과 함께 약 60명의 무용수가 함께하는 특별 공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jsy@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