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예술단체장 투명하게 공개 검증·선발한다…낙하산 방지
지역에 국립 청년연희단·청년무용단·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청년극단 신설
-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서울=뉴스1) 박정환 문화전문기자 = 말도 많고 탈도 많던 국립 예술 기관장과 단체장 선발이 기존의 비공개에서 투명하게 바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공개 모집, 공개 검증, 사전 선임 등을 골자로 하는 인선 절차 투명화 방안을 15일 발표했다.
용효성 문체부 1차관은 15일 서울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국립예술단체장 선발 과정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높이고, 역할 수행을 위한 준비 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인선 절차를 개편한다"고 말했다.
먼저, 공개 모집제도를 시행한다. 기존에는 분야별로 명망 있는 인사를 비공식적으로 추천받아 임명해 왔으나, 공개모집을 통해 역량 있는 인재라면 누구나 응시하도록 기회를 확장한다.
공개 검증제도도 도입한다. 국립예술단체장 선발 과정을 공개해 후보자가 공개검증위원단 앞에서 단체의 중장기 비전과 운영계획을 발표하고 예술적 역량을 선보이는 등의 공개 검증 제도를 마련한다. 용 차관은 "단체별·분야별·역할별로 요구하는 역량에 따라 세부 평가 방식과 평가지표는 직위별로 다르게 구성한다"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사전 선임제도도 도입한다. 국립예술단체장 임기 만료 약 1년 전에 후임자 선임 절차 논의를 시작해 후임자가 임기 개시 최소 6개월 전부터 미리 단체 운영을 준비하고 세부 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선임을 앞당길 계획이다. 용 차관은 "후임자는 공식 임기 전에 미리 공연계획을 준비하며 효율적인 단체 운영을 도모할 수 있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인선 투명화 방안을 빠르게 적용하기 위해 잔여 임기가 1년 미만인 국립예술단체장을 대상으로 오는 6월 중 통합공고를 개시할 예정이다. 용 차관은 "접수와 공개 심사 과정을 거쳐 8~9월 중 선임 절차를 마무리하는 일정으로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제도 개선의 배경에 대해 용 차관은 "인선에 대한 명시적 규정이 없고, 비공개로 선임이 이루어져 인선 절차에 대한 시비가 있었다"며 "선임 절차의 지연으로 공석도 빈번하게 발생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공연단체는 1년 전에 작품을 기획하기 때문에 선발과 임기 시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기존 절차로는 신임 단체장의 역량이 제한될 수밖에 없었다"고도 덧붙였다.
아울러 문체부는 각 지역에 국립청년예술단(국립청년연희단, 국립청년무용단, 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 국립청년극단)을 신설해 운영한다. 국립청년예술단은 39세 이하 청년예술인을 1년 단위 시즌 단원으로 채용해 청년 예술인들의 무대 활동 기회를 확대하는 제도이다.
국립청년예술단 신설 대상지로 부산광역시(국립청년연희단), 경기도 평택시(국립청년무용단), 세종특별자치시(국립심포니콘서트오케스트라), 강원도 원주시(국립청년극단)를 선정했다.
용호성 차관은 "국립예술단체장 선발 절차 개편은 국립예술단체의 예술성과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며"올해 처음 신설하는 국립청년예술단을 통해 지역공연장을 공연예술 생태계의 거점으로 육성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art@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