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서도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학생·교사·노인 등 2500명 참여
- 장광일 기자, 조아서 기자

(부산=뉴스1) 장광일 조아서 기자 = '비상계엄 선포' 사태를 규탄하며 윤석열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는 집회가 부산에서도 열렸다.
부산지역 시민사회단체, 노동계, 정치계, 의료계, 법조계 등 각계 단체들은 4일 오후 7시 부산 부산진구 쥬디스태화 인근에서 '윤석열 대통령 즉각 퇴진 대회'를 열었다.
이들은 손에 '윤석열 즉각 탄핵!' '윤석열 즉각 체포!' 등이 적힌 팻말을 들고 "윤석열을 체포하라" "윤석열을 탄핵하자"는 구호를 연신 외쳐댔다.
이들 단체는 "지난 3일 밤 느닷없이 선포된 비상계엄으로 많은 국민들은 당혹감과 좌절감을 느꼈다"며 "이번 비상계엄 선포는 헌법과 불공정한 요건을 갖추지 못해 위헌이며, 경찰과 군을 동원해 국회의원들의 국회 출입을 봉쇄한 내란죄 역시 윤 대통령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집회에는 학생, 직장인 등 다양한 연령대의 시민들이 참여했다. 다소 쌀쌀해진 날씨에 목도리, 두툼한 점퍼 등으로 무장한 참가자들은 휴대전화 라이트를 켜고 노래를 부르며 결속을 다졌다.
'대통령 직무를 즉각 정지하라'며 구호를 외치던 김 모군(19) "어젯밤 갑작스럽게 발표된 계엄 선포를 본 뒤 나라가 불안정하다는 생각에 잠을 이루지 못했다"며 "친구들과 이야기하던 중 집회 소식을 접하고 직접 행동해보자는 결심으로 참여하게 됐다"고 말했다.
뉴스를 보고 큰 충격을 받았다는 김 모씨(27)는 "대통령이 비상 계엄을 선포하면서 '국민을 위해서'라고 했으나 정말 국민을 위한다면 계엄선포를 해서는 안됐다"이라며 "윗세대가 피땀 흘려 일군 민주주의를 지키기 위해서 이번에도 국민이 직접 움직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신을 교사라고 밝힌 한 시민은 "'역사책에서 봤던 일이 실제로 일어나 부정적인 결과가 가져올까봐 불안했다'는 학생들과 오늘 학교에서 많은 이야기를 나눴다"며 "학생들에게 민주주의와 헌법적 가치를 올바르게 가르치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했다.
이날 서면 번화가에서는 집회에 참여하지 않은 시민들에게서도 대통령 퇴진을 찬성하는 분위기를 쉽게 감지할 수 있었다.
친구들과 저녁 식사를 하고 있던 한 모씨(32)는 "잘못된 것은 잘못됐다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며 "자신의 이익을 위해 함부로 권력을 행사하는 대통령을 보고 큰 충격을 받았고, 퇴진은 꼭 이뤄져야 한다는 데 공감한다"고 집회를 응원했다.
집회를 마친 참가자들은 서면 로터리→서면역 2번 출구→6번 출구→동천로를 따라 행진하며 시민들의 참여를 독려했다. 민주노총 부산본부는 이날을 시작으로 무기한으로 '윤석열 대통령 퇴진'을 촉구하는 집회를 매일 열 계획이다.
이날 경찰에 신고된 집회 인원은 500명이지만, 주최 측 추산 약 2500명이 집회에 참여했다. 부산경찰청은 현장에 경력 150여명을 투입하고 만일의 사태를 대비했으나 현재까지 큰 사고는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윤 대통령은 전날 오후 10시 30분쯤 대국민담화를 통해 비상계엄을 선포했고, 같은 날 오후 11시 계엄사령부의 포고문 발표와 함께 전국이 계엄 상태에 들어갔다. 이후 국회가 이날 오전 1시쯤 본회의를 열어 계엄 해제 요구 결의안을 처리하자, 윤 대통령은 오전 4시 30분쯤 계엄 해제를 선언했다.
ase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