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어부산 항공기 화재 3일 합동감식…원인 밝혀질까
위험물 제거, 3D 입체영상 촬영 등 완료
- 조아서 기자
(부산=뉴스1) 조아서 기자 = 부산 김해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에어부산 항공기 화재와 관련해 합동조사팀이 3일 현장 감식에 나서는 가운데 화재 원인과 발화점 등이 밝혀질지 관심이 쏠린다.
2일 국토부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 프랑스 사고조사당국(BEA),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경찰 과학수사대, 소방 등 관계기관으로 구성된 합동조사팀 3일 현장감식을 실시한다.
합동조사팀은 지난달 31일 현장 위험관리평가를 진행, 항공기 전반적인 안전상황을 감안해 탑재된 연료는 제거하지 않고 현장감식을 진행하기로 결정했다.
합동조사팀은 이날 비상산소용기 분리 조치 등 위험물 제거하고, 3D 입체영상 촬영을 완료했다. 기체는 주말 사이 우천 상황을 고려해 현재 천막을 씌워 보호하고 있다.
화재 직후부터 이틀간 사전회의 및 현장점검이 진행됐으나, 항공기 양쪽 날개(연료탱크)에 실려 있는 항공유 3만5900lbs에 대한 안전성 문제를 논의하는 데 시간이 다소 소요됐다.
이에 3일부터 시작되는 현장감식은 시료채취, 분석, 분류 작업 등의 연속성을 고려해 속도감 있게 진행될 전망이다.
추후 합동감식에는 20여명의 합동조사팀이 투입된다. 이중 기체 전문가를 포함한 6~7명만이 객실 내부로 들어가 정밀 감식을 진행하고, 이외에 인원은 1차 잔해 분류·수거 작업을 실시한다.
기내 뒤편 좌석 위 선반에서 연기와 불꽃을 목격했다는 승객·승무원의 진술 등을 토대로 선반 내부의 미상 물체가 최초 발화지로 추정되고 있으나, 사조위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조사에 임하겠다는 방침이다.
사조위는 에어부산 측으로부터 제출받은 항공기 제원 및 도해표, 항공기 이력, 각종 절차 등 항공기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 있으며, 블랙박스인 비행기록장치(FDR)와 조종실 음성기록장치(CVR) 등도 회수해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토부는 최근 위험성이 드러난 항공기 리튬 이온 배터리(보조배터리) 반입에 대한 규정 강화를 검토하고 있다. 방안으로는 보조배터리 반입 개수(용량) 제한·보관 위치 지정·제품 정보 표기 확인 등이 거론된다. 에어부산 역시 보조배터리로 인한 화재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기내 반입 물품 규정 강화를 논의 중이다.
지난 28일 오후 10시 15분쯤 김해공항 계류장에서 총 176명(승객 169명, 승무원 6명, 정비사 1명)을 태우고 이륙을 준비하던 홍콩행 에어부산 여객기 기내 뒤쪽에서 화재가 발생, 탑승자 전원 비상 슬라이드를 통해 무사히 탈출했고 이 과정에서 승객 7명이 경상을 입었다.
aseo@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