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벨트 전략사업 최다 선정 경남, 10.3㎢ 해제…"경제 재도약"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창원 도심융합 단지 등 4곳 선정
명태균 개입 의혹 '창원 제2산단' GB 해제 보류엔 "유감"
- 강정태 기자
(창원=뉴스1) 강정태 기자 = 경남도는 25일 정부가 발표한 개발제한구역(GB) 국가·지역전략사업지 15곳 중 경남에 전국 최다인 4곳이 선정된 것과 관련해 “지역 경제 재도약 발판을 마련했다”고 환영 입장을 내놨다.
다만 명태균 개입 의혹이 불거진 ‘창원 방위·원자력 국가산단(창원 제2국가산단)’이 재심의 결정된 데 대해서는 “유감”이라면서도 “구역 조정 등 보완 후 추가 선정될 수 있다는 의미인 만큼 빠른 시일 내 사업계획을 보완해 최종 선정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이날 오후 도청에서 정부의 국가·지역전략사업지 선정 관련 브리핑을 열고 “지역기반산업 육성을 위한 대규모 개발가용지를 확보하게 됐다”며 “경남 경제가 재도약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를 확보했다”고 말했다.
이날 국토부가 발표한 GB 국가·지역전략사업에 경남에서는 △창원시 진해구 장천동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GB 6.37㎢) △창원시 의창구 용동 창원 도심융합 기술개발(R&D) 단지(GB 2.27㎢) △창원시 마산회원구 합성동 도심생활 복합단지(GB 0.96㎢) △김해시 진영읍 진영 테크업 일반산단(GB 0.68㎢) 사업이 선정됐다.
전략사업에 선정되면 GB 해제 총량을 적용받지 않으며, 원칙적으로 GB 해제가 허용되지 않는 환경평가 1~2등급지도 대체지(신규 GB) 지정을 조건으로 해제가 허용된다.
이번 선정으로 경남은 2045년까지 약 10.29만㎢(약 312만평)의 개발제한구역을 포함해 10.92㎢(330만평)을 개발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다.
진해신항 항만배후단지는 진해·부산항 신항의 물동량 증가, 항만 증설 및 가덕도 신공항 건설 등에 대비한 물류 거점으로, 트라이포트(항만-공항-철도) 기반의 첨단 복합 물류 플랫폼을 구축하는 사업이다.
창원 도심융합기술개발단지는 국립창원대를 중심으로 한국전기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재료연구원,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조선해양기술연구원 등이 협력해 창원대 부지 내 국책연구원을 설치하고, 지역 핵심 산업과 연계한 연구개발을 촉진하는 ‘도시융합 R&D 클러스트 거점’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진영테크업 일반산업단지는 미래 모빌리티, 수소, 로봇, 전력반도체 등 신산업을 육성하는 산단을 조성하는 사업이다.
도심생활 복합단지는 경남 지역의 외국인력 유입 증가와 초고령화 대응을 위해 마산역 주변 노후화된 주거·상업·공공시설을 재정비하고 복합 개발을 유도해 지역특화형 생활권을 형성하는 사업이다.
도는 4개 사업의 경제적 파급 효과로 조성단계에서는 직접 투자 3.4조원·생산 유발 6.5조원·고용유발 4만9266명, 조성 이후 단계에서 연간 생산액 10.7조원·일자리 창출 2만589명으로 예상하고 있다.
명태균 개입 의혹이 불거진 창원 방위‧원자력 국가산단은 이번 사업 선정에서 제외됐다.
이곳은 예정지 3.65㎢ 대부분이 개발제한구역에다가, 환경평가 1‧2등급지도 포함하고 있어 그린벨트 해제가 필수적이다.
명 씨는 창원 의창에 들어설 창원 제2국가산단 선정을 기획·관여했으며, 선정 결과 발표 전 미리 알고 있는 등 국정에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국토부는 명 씨 개입 의혹 때문이 아닌 전문기관 평가 이후 사업구역 내 폐광산이 확인돼 향후 사업계획 보완 등을 통해 중도위에서 재심의하기로 결정했다는 입장이다.
이날 행정부지사 브리핑에 이어 취재진과 질의응답 시간을 가진 신종우 경남도 도시주택국장은 재심의 결정과 관련해 “폐광산 조정만 하면 1~2개월 내에 재조정 가능하다고 본다”며 “수개월 내에 재심의를 요청해 승인받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경남도는 이날 선정된 4곳의 사업지 6295필지를 이날부터 3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다고 밝혔다.
jz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