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면된 尹 '친필' 표지석 철거·복원 놓고 창원시 '어쩌나'
12·3 비상계엄 후 민주노총서 '내란' 표시
4개월여간 검은 천 씌워진 채 방치
- 박민석 기자
(창원=뉴스1) 박민석 기자 = 경남 창원에 있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친필 표지석을 두고 창원시가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 표지석은 지난 2023년 4월 24일 창원국가산단 지정 50주년을 기념해 창원시가 산업단지공단 경남본부 입구에 설치했다.
표지석에는 '산업강국의 요람 창원국가산업단지 2024.4.24 대통령 윤석열'이라고 새겨져 있다.
그러나 지난해 12월 3일 윤 전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한 후 7일 만인 12월 10일 대통령 탄핵을 요구하던 민주노총 경남본부가 표지석의 '대통령 윤석열'이라는 글자 앞에 검은색 스프레이로 '내란'이라는 문구를 칠했다.
당시 민주노총은 "제보를 받고 그런 조형물이 창원에 있다는 걸 알게 됐다. 많은 국민들이 윤석열은 내란 수괴이고 대통령으로 인정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며 "그래서 대통령 글자 앞에 내란이라고 표시해 '내란 대통령'이라고 했다. 전국민적 투쟁에 대한 항의의 표시"라고 설명했다.
이후 창원중부경찰서는 재물 손괴 등의 혐의로 민주노총 관계자를 상대로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시는 민주노총이 내란 대통령이라고 칠한 표지석을 검은 천을 씌워 가렸지만 4개월이 지나 대통령이 파면된 상태에서 현재까지도 이 표지석의 복원이나 철거를 놓고 명확한 계획이 없다.
표지석이 설치된 산업단지공단 경남본부는 "표지석이 경남본부 안에 설치돼 있지만 소유권과 관리권은 모두 창원시에 있다"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표지석에 대한 재물 손괴 혐의로 경찰 수사가 진행되고 있어 수사 결과를 지켜봐야 할 것 같다"며 "원상복구나 철거에 대해서는 아직 정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시민사회단체에서는 윤 전 대통령 친필 표지석에 대한 철거 목소리가 나온다.
조창종 민주노총 경남본부 사무처장은 "대통령 파면 이후 해외 공관에 걸린 윤석열 사진도 내리고 있는데 표지석을 그대로 두는 것은 옳지 않다"며 "아직 형사 재판 중이긴 하지만 내란 우두머리 혐의를 받고 있고, 헌정질서를 무너뜨려 탄핵 파면된 대통령의 글을 그대로 두는 것은 부적절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황선배 6월민주항쟁정신계승경남사업회 사무처장은 "내란을 일으킨 대통령이 파면됐는데 친필 표지석을 두고 주저할 이유가 없다"며 "창원시가 내란에 동조하는 것이 아니라면 즉각 철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재욱 경남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윤 전 대통령의 표지석을 두고 시민들이 정치적 입장에 따라 그대로 두거나 철거하자는 주장을 할 수가 있다"며 "현재 윤 전 대통령이 내란 우두머리 혐의로 재판을 받고 있는데 재판에서 내란 혐의가 확정돼 명확해지면 이를 근거로 철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pms7100@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