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유산' 대성동고분군 조사서 김해 고읍성 성벽 상부구조 발견
통일신라 이후 조성, 조선시대 김해읍성 축조 전까지 기능
- 박민석 기자
(김해=뉴스1) 박민석 기자 =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경남 김해 대성동 고분군에서 통일신라 이후 조성된 토성인 김해 고읍성 성벽 상부 구조가 확인됐다.
김해시는 대성동 고분군 붕괴 사면 수습 조사에서 김해 고읍성의 성벽 상부구조를 처음 확인했다고 16일 밝혔다.
시에 따르면 김해 고읍성은 통일신라 이후 조성된 기단석축형 판축 토성이다. 고읍성은 조선시대에 이르러 김해읍성을 축조하기 전까지 김해지역의 군사·행정 중심지로 기능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해 고읍성은 1820년 제작된 김해부 부내지도에 김해읍성과 함께 기록돼 있고, 1950년대 항공사진에도 흔적이 남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성동 고분군은 지난해 9월 집중 호우로 사면 일부가 붕괴됐다. 시는 국가유산청의 지원을 받아 지난달부터 유물 수습 조사와 정비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토층 수습 조사에서는 김해 고읍성의 성벽 몸체 부분이 발굴됐다. 성벽 하부에는 토성 조성 이전에 조성된 석곽묘가 분포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간 대성동 고분군 인근의 김해도서관과 김해 시민의 종 주변 도로 공사에서 고읍성 기단부가 조사된 적은 있지만 성벽 몸체의 상부구조가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발견된 성벽 몸체는 잔존 높이가 최대 2.6m로 회갈색 암반 포함토와 적갈색 점질토 등 성질이 다른 토양을 30~60㎝ 두께로 교차해 쌓아 올린 구조로 확인됐다.
또 판축 과정에서 사용된 영정주(축성 시 일정 구간마다 세우는 나무틀 기둥목)도 발견됐다.
시 관계자는 "이번 조사에서 지난해 9월 집중호우로 대성동 고분군이나 고읍성과 관련된 유구 훼손은 확인되지 않았다"며 "학술자문위원회 결과와 수습 조사 결과를 반영해 국가유산청의 승인을 받아 정비 공사를 마무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pms7100@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