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미분양 5년 평균 대비 186%↑…'위기 극복' 모색
준공후 미분양 최근 5년 대비 215% 급증
- 손연우 기자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부산시가 지역 건설경기 활성화를 위해 건설·금융 전문가, 건설업계 관계자들과 머리를 맞댔다.
시는 최근 도시혁신균형실장 주재로 건설업 위기 극복 전문가-건설업계 회의를 개최했다고 20일 밝혔다.
시는 전문가와 건설업계 의견을 듣고 공공분야와 민간 건설사업 물량 확대를 통한 건설산업 활성화 제고, 지역 하도급 참여율 제고, 건설업에 대한 금융지원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와 관련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사 물량 확대도 중요하지만, 공사비를 현실화하고 중소 건설사업과 유지보수 건설공사에도 중점을 둔 물량 확대가 추진돼야 한다"고 건의했다고 부산시가 전했다.
하도급업체 측은 "시기에 맞춰 진행해야 하는 공사가 대부분으로 건설공사 조기 발주와 신속 집행은 공사 특성을 고려해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업체 측은 또 "미분양에 따른 공사비 미수금에 대한 부담이 크므로 이를 해소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요구했다.
전문가들은 "부산의 글로벌허브 도시 조성에 맞춘 도시 재구조화와 함께 공공과 민간이 협력한 대규모 건설사업의 추진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아울러 전문가들은 "신속한 건축 인허가 절차도 중요하지만, 미착공 중인 공사가 많은 점을 지적하며 착공에 대한 지원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시에 따르면 올해 2월 기준 전국 건설 수주는 11조 3000억 원으로, 매년 2월 수주로는 최근 6년 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건설 물량이 감소해 전국 건설업 고용자가 지난해 5월부터 10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인다.
부산지역 올해 미분양은 최근 5년 평균 대비 186% 급증했고, 준공 후 미분양은 최근 5년 대비 215% 급증해 최근 10년 중 최고 수준이다. 정치적·대외적 불확실성으로 인해 현재 진행 중인 공사도 위축될 것으로 예상돼 건설경기 침체 속도가 빠를 것으로 전망된다.
임경모 시 도시혁신균형실장은 "건설 현장과 전문가의 의견을 향후 대책에 반영할 계획"이라며 "필요할 경우 시-전문가-건설업계 회의를 수시로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syw5345@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