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 외국인 유학생 정착 어떻게?…"비자특례·취업 지원 필요"
경남硏 "경남비자 발급…대학-상의 연계체게 구축해야"
- 박민석 기자
(창원=뉴스1) 박민석 기자 = 경남지역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의 도내 정착을 위해 비자 특례와 취업 지원 체계가 필요하다는 제언이 나왔다.
25일 경남연구원에 따르면 심인선 선임연구위원과 이혜진 연구위원은 최근 '경남의 외국인 유학생이 지역에 정착하려면?' 정책 브리프에서 "경남도는 유학비자를 가진 외국인이 취업비자로 전환해 도내에 정착하도록 설계하고 있다. 이를 위한 단기방안으로 제안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정책 브리프를 보면 도내 외국인 유학생은 2019년 3640명, 2020년 3407명, 2021명 3950명, 2022년 4414명, 2023년 4993명으로 매년 증가했다. 2019~23년 도내 외국인 유학생 연평균 증가율은 8.6%로 전국 평균(7.1%)을 상회했다.
2023년 기준 도내 외국인 유학생들의 체류 지역을 보면 김해시가 1693명(33.9%)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창원시 1583명(31.7%), 진주시 939명(18.8%) 순이었다. 도내 인구 감소지역인 밀양과 군 지역에는 거창군 84명(1.7%), 밀양시 27명(0.5%), 함안군 5명(0.1%) 순으로 유학생이 체류했다.
도내 외국인 유학생의 중도 탈락률은 전문대학이 23.2%로 전국 평균(13.9%)보다 매우 높았다. 그러나 대학교의 경우 5.7%로 전국 평균(9.2%)보다 낮았다.
경남도는 작년 8월 '해외 인재 1만 명을 유치하겠다'고 밝혔다. 이에 도는 2026년까지 5000명, 2027년 7000명, 2028년까지 1만명을 유치한다는 계획이다.
이와 관련 도는 유학비자를 가진 외국인이 취업비자로 전환해 도내 기초지자체의 필수 산업인력과 정주 인력이 늘어나길 기대하고 있다.
연구원들은 외국인 유학생의 경남 정착을 위한 단기방안으로 E-7(특정 활동) 특례를 통한 경남 비자 발급을 제안했다.
연구원들은 "도내 대학을 졸업하고 한국어 능력 시험(TOPIK) 3급 이상 혹은 사회통합프로그램(KIIP) 3단계 이상 이수한 경우 도내 기업체에 취업할 수 있도록 특례사항을 신청해 경남 비자로 지자체에서 관리해야 한다"며 "이는 정부 E-7 일자리 쿼터와 무관한 경남형 외국인 유학생 취업 풀을 구성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원들은 또 "경남상의에 중소기업 구인 뱅크를 설치해 각 학교 졸업 외국인 유학생 중 취업지원자를 매칭할 필요가 있다"며 "각 대학은 외국인 졸업생 중 구직자 취업 상담과 한국어능력시험 지원, 사회통합프로그램을 연결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이들은 "도 정책 사업 중 광역 비자 취득자에게 혜택을 부여할 필요가 있다"며 "도정 핵심사업과 청년 대상 사업, 교통지원 등 도민을 대상으로 한 사업을 외국인 유학생에게도 적용해 정착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pms7100@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