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상의, 부산경제계 대선 제언집 발간…4개 분야 24개 과제 발굴
- 손연우 기자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부산상공회의소는 28일 부산경제계 대선 건의과제를 발표하고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부산시당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부산상의는 트럼프발 관세전쟁,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복합 위기 속에 치러지는 만큼 국가경제 성장에 있어 부산의 역할을 부각할 기회로 보고 지역 주요현안과 기업의 목소리를 담은 '제21대 대통령 후보께 드리는 부산경제계 제언집'을 발간했다.
제언집에는 남부권 실질적 거점도시로 성장하기 위한 4대 인프라 확충과제, 글로벌 해양수도로 도약시키기 위한 5대 전략과제, 기업 활력 제고를 위한 9대 기업정책과제, 산업구조 전환과 고도화를 위한 6대 육성과제 등 4개 분야 총 24개 건의과제가 담겼다.
4대 인프라 확충과제로는 부산 맑은 물 공급, 한국산업은행 본점 부산 이전, 부산 글로벌 허브도시 특별법 조속 제정, 제2차 공공기관 부산 이전 등이 포함됐다.
5대 전략과제로는 해양수산부 기능 강화 및 부산 이전, 북극항로 구축지원 특별법 제정, 해사법원 설립, 해운거래소 설립, HMM 본사 이전 등이 포함됐다.
9대 기업정책 과제로는 기업 4대 규제에 대한 현장 수용성 제고를 핵심 과제로 꼽았다. 주 52시간 근무제, 중대재해처벌법, 대기환경보전법 등 지난 수년간 지속해서 강화돼 온 노동·안전·환경 관련 규제에 대한 현장의 불합리성을 해소하고 제도의 실효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는 기업의 목소리가 반영됐다.
외국인 근로자 규제 완화와 쿼터 확대, 가업승계 활성화를 위한 상속·증여세 완화, 전력자립률 기반 지역별 차등 전기요금제 도입 등 산업 현장의 활력 제고를 위한 구체적인 대안 등도 담겼다.
6대 육성과제 부문에서는 부산형 복합리조트 유치를 최우선 과제로 제시했다. 부산형 복합리조트 유치는 단순한 지역 개발을 넘어 대한민국 관광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확실한 인프라인 만큼 반드시 추진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 외에도 전력반도체 특화단지 활성화, 남부권 첨단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소형모듈원자로 산업 육성, 친환경 수소모빌리티·항만산업 육성, 이산화탄소 저장․활용 산업 육성 등 지역산업 특성을 반영한 미래형 산업 고도화 전략 등을 담았다.
부산상공회의소 양재생 회장은 "대선 후보들이 수도권 일극주의에서 탈피해 부산을 비롯한 지방의 목소리에 적극적으로 화답해 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syw5345@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