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J중공업, 탐해3호 보증 수리 완료…설계·사후관리 호평받아
대륙붕·대양·극지 등 해저 자원탐사 수행
- 손연우 기자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HJ중공업은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최첨단 3D/4D 물리탐사연구선 '탐해3호'의 정기 보증수리를 통해 품질과 사후관리에서 극찬받았다고 8일 밝혔다.
6862톤급인 탐해3호는 대륙붕, 대양, 극지 등 전 세계 모든 해역에서 해저 자원탐사를 수행할 수 있는 국내 유일의 최첨단 3D/4D 물리탐사연구선이다.
승조원 50명을 태우고 최대 15노트(28㎞/h)로 운항 가능하며 항속거리가 3만6000㎞에 달해 북극, 남극을 왕복하며 연구활동을 펼칠 수 있는 '국가대표 바다 위 연구소'다.
탐해3호는 지난 3월 20일 정기 보증수리를 위해 부산 HJ중공업 영도조선소에 들어왔다. HJ중공업 기술진은 선체 바닥과 외부 도장, 축계 점검, 기타 승무원 불편사항 등을 점검하고 약 40일 동안 각종 수리와 개선 작업을 진행했다.
탑재된 장비는 다른 연구선에 비해 탐사장비 비율(50% 이상)이 월등히 높아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선으로 손꼽힌다.
HJ중공업은 2021년 한국지질자원연구원과 선체 설계와 건조계약을 맺고 공정에 착수했다. 탐해3호 건조때부터 극지 항해용 내빙 선체와 동적위치제어기술, 소음제어와 자동항법시스템 등 첨단 기술을 적용하는 등 심혈을 기울였다.
지난해 6월 공식 취항한 탐해3호는 첫 임무로 '기후변화 저감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서해 군산분지에서 3D 탄성파 탐사를 통한 해저 CO₂ 유망저장소 탐사 임무에 투입됐다.
올해는 HJ중공업의 정기 보증수리를 마치고 재정비한 뒤 태평양 해저퇴적물의 희토류 매장 정보 확보와 희토류 자원 개발을 위한 정밀탐사 후보지 선정에 나선다.
김진호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탐사선건조사업단장은 "국내 유일의 국적 물리탐사연구선인 탐해3호는 취항 이후 서해 군산분지 3D 탄성파 탐사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며 최첨단 연구선으로서 빼어난 성능을 입증했다"며 "연구장비 운용성이 타 연구선에 비해 월등하고 승조원 거주성과 편의성 측면에서도 만족도가 높다"고 말했다.
유상철 HJ중공업 대표이사는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선을 완벽히 건조해 국가 위상 제고에 이바지해 왔다"며 "앞으로도 차세대 쇄빙연구선 등 최첨단 기술집약형 선박 건조 분야에서 역량을 발휘하겠다"고 말했다.
syw5345@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