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울·경, 국회에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예타통과 공동 건의
- 손연우 기자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부산시는 울산시, 경남도와 12일 기획재정부와 국토교통부를 방문해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 예비타당성조사 통과와 조기 구축을 공동 건의했다고 13일 밝혔다.
3개 시도는 수도권 집중과 비수도권 공동화로 인한 지방소멸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철도 중심의 빠르고 편리한 광역교통망 확충이 필수적이며 광역권 간 대동맥 역할을 할 광역철도가 개통되기 위해서는 이번 예비타당성조사 통과가 필요함을 강조했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는 2023년 6월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해 다음 달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총연장 48.7㎞(부산 8.9㎞)로 11곳의 정거장(부산 2곳)이 설치되며 사업비는 약 2조 5000억 원 규모다.
부울경 핵심축인 부산(노포)~양산(웅상)~울산(KTX울산역)을 잇고 부산1호선, 정관선, 양산선, 울산1호선 등 단절된 4개의 도시철도와 직접 연계된다.
시는 부울경 1시간 생활권을 형성하고 산업·물류·배후단지 기능을 활성화해 지방 균형발전을 견인할 것으로 기대한다.
부울경 3개 시도는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의 차질 없는 추진을 위해서도 힘을 합치기로 했다.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연결돼 부울경 광역철도망을 완성할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는 KTX 울산역을 출발해 양산을 거쳐 김해(경전선)까지 연결되는 노선으로, 지난해 12월 예비타당성조사에 착수했다.
광역철도는 지역 간 주요 거점을 이동하는 시간과 거리를 효율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핵심 교통수단이지만, 비수도권인 부울경은 수도권에 비해 광역철도망이 미비한 상태라 단일 경제·생활권 형성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이에 정부는 2021년 '비수도권 광역철도 선도사업'으로 부산~양산~울산, 대구~경북, 광주~나주, 대전~세종~충북, 용문~홍천 5건을 선정했다.
지난해 6월에는 박형준 부산시장, 김두겸 울산시장, 박완수 경남도지사가 부울경 초광역 현안 광역철도망인 부산~양산~울산 광역철도와 동남권 순환 광역철도 조기 구축을 위한 공동건의문을 전달했다.
임경모 시 도시혁신균형실장은 "부울경 1시간 생활권을 만들고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는 핵심 사업인 광역철도망 확충의 필요성과 염원을 부산, 울산, 경남이 함께 간곡히 전달했다"며 "앞으로도 3개 시도는 광역철도망 구축을 위해 한마음으로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syw5345@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