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대구시, 'AI로봇 글로벌 혁신특구'선정…로봇핵심거점 발판 마련

AI 로봇 글로벌 혁신특구 추진계획안.(대구시 제공)
AI 로봇 글로벌 혁신특구 추진계획안.(대구시 제공)

(대구=뉴스1) 김종엽 기자 = 대구시는 8일 중소벤처기업부의 '글로벌 혁신특구' 지정 공모에서 최종 선정됐다고 밝혔다.

'글로벌 혁신특구'는 첨단 분야 신제품·서비스 개발과 해외진출을 위해 우선 허용·사후규제(네거티브 규제)가 적용되고 글로벌스탠더드 수준의 실증이 이루어지는 한국형 혁신지구(클러스터)다. 중기부는 올해 공모를 통해 대구를 비롯해 경남, 대전을 지정했으며, 충북과 강원, 전남, 부산은 지난해 선정됐다.

지난해 공모에서 탈락한 대구시는 사업 범위를 대구 전 지역에서 첨단제조Zone(테크노폴리스·국가산단)과 AI혁신Zone(수성알파시티) 2대 혁신거점으로 특정하고, 기업 수요조사를 통해 의료·도로작업용 로봇 등의 규제를 추가로 발굴해 최종 선정됐다.

시는 특구 지정에 따라 2대 혁신거점 AI로봇 클러스터화 및 맞춤형 기업지원(BTS), 글로벌 진출 재정지원, 네거티브 규제 기반 실증특례 등을 추진한다.

대구는 비수도권 최대 로봇기업 및 IT·SW기업 집적지로 테크노폴리스 중심 로봇제조 및 실증(국가로봇테스트필드) 인프라와 수성알파시티 내 AI 관련 인프라(디지털혁신거점, SK AI데이터센터), 산·학·연 생태계가 잘 구축돼 있어 AI와 로봇 기술융합 혁신거점으로 최적지로 꼽힌다.

시는 특구 사업을 통해 완성도 높은 제품화를 위한 하드웨어는 첨단제조Zone, AI기술을 접목한 제품고도화를 위한 소프트웨어는 AI혁신Zone을 중심으로 집적화하고, 지역 혁신기관과 협력해 맞춤형 기업지원을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해외시장 수요대응을 위한 수요처 맞춤형 해외실증 지원 및 제품 기획단계부터 미국, 유럽 등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해외인증, 해외 우수기업·연구기관의 혁신기술 확보를 위한 국제공동 연구개발(R&D)를 지원한다.

홍준표 시장은 "국가로봇테스트필드를 품은 대구가 올해 글로벌 혁신특구 유치를 통해 규제특례부터 해외진출까지 로봇성장 지원정책을 완결하는 국내 유일 로봇핵심거점으로 거듭나게 됐다"고 말했다.

kimjy@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