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하지 않았으면" 천안 노인들 빈곤 완화 정책 확대 희망
천안시 노인실태조사
노인 절반 연소득 100만원 미만, 경제활동 인구 30.6%
- 이시우 기자
(천안=뉴스1) 이시우 기자 = 충남 천안시 65세 이상 노인들은 '빈곤 완화 지원' 정책 확대를 희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4일 천안시 노인실태조사에 따르면 노인 복지를 위해 우선 확대돼야 할 정책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35.8%가 이같이 답했다.
이어 △돌봄(요양)서비스(26.6%) △건강 서비스(20.9%) △고용/일자리 지원(6.6%) △치매 관련 서비스(5%) 등의 확대를 바랐다.
천안시 노인실태조사는 지난해 9월 30일부터 11일 동안 65세 이상 노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노인 인구 증가에 따른 대응책 마련을 위해 처음 조사됐다.
천안시는 지난해 9월 기준, 전체 인구 65만 8831명(외국인 제외) 중 노인이 9만 651명(13.75%)으로, 고령 인구 비율이 전국(19.51%) 또는 충남(21.4%)보다 낮지만 60세 이상 인구 비율은 전체의 20.9%를 차지해 머지않아 초고령 사회 진입이 예상된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응답자의 32%가 홀로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혼자 거주한 기간은 평균 16.1년으로 △간호해 줄 사람이 없고(31%) △외로움·고독(19.7%)이 혼자 사는 데 힘든 점이라고 응답했다.
본인의 건강 상태에 대해서는 47%가 '건강하다'고 답했지만, 평균적으로 2가지 이상의 만성 질환을 진단받아 82%가 3개월 이상 약물을 복용 중인 것으로 조사됐다.
삶에서 중요한 활동으로는 취미와 여가활동(34.2%)을 꼽았다. 다만, 지난 1년간 경험이 있는 노인은 54%로, 나머지는 건강이 좋지 않거나(30%),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19.2%) 여가 활동을 하지 않았다고 답했다.
또 응답자의 30.6%가 경제활동을 하고 있고, 월평균 187만 원의 소득을 얻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71.2%는 일에 대해 만족했지만 그렇지 못한 노인들은 낮은 급여 수준(73.2%)에 불만을 갖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하지만 절반은 지난 1년 월평균 소득이 100만 원에 미치지 못했고, 수입의 대부분은 공적 이전소득(77%)이 차지했다.
월평균 생활비는 150만원 미만이 48.7%로, △식료품비(48.4%) △주거비(22.6%) △보건의료비(20.2%) 부담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자의 61.5%는 건강과 휴식을 이유로 앞으로 일을 하고 싶지 않다는 의사를 표시했다.
천안에서의 삶에 대해서는 대체로 만족해했다. 치안과 교통 안전, 녹지공간, 이웃과의 교류 기회, 자녀 거주지와의 거리 등의 만족도에 비교적 높은 점수를 주며 지역사회 환경에 만족한다는 비율이 66.7%를 기록했다.
윤은미 복지정책국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지역 어르신들의 삶의 현주소를 객관적으로 진단하고, 복지 수요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됐다"며 "체감도 높은 맞춤형 정책을 수립해, 어르신과 가족 모두가 안심할 수 있는 복지 환경을 만들어가겠다"고 말했다.
issue78@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