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체절명" 군수 읍소했지만…함평군 인구 3만명 붕괴
1월 기준 2만9913명…2006년 4만명 무너진 뒤 9년만에
신생아 양육비·출생기본수당 등 '인구정책'에도 힘못써
- 최성국 기자
(함평=뉴스1) 최성국 기자 = '인구 소멸 고위험지역' 중 한 곳인 전남 함평군의 인구가 결국 3만명선을 지키지 못했다.
함평군은 군수가 직접 "인구감소로 인한 절체절명의 위기"라며 읍소하고, 전입~출생~교육으로 이어지는 '함평형 인구정책'을 펼쳤지만 지방소멸의 위기감은 어느 때보다 크다.
6일 함평군에 따르면 올해 1월 말 기준 함평군의 전체 인구수는 2만 9913명이다.
함평군은 2006년 인구 4만명선이 무너진 이후 지속적으로 생활인구·체류인구가 줄더니 2023년 말에는 3만 601명까지 추락했다.
지역에서 태어나는 신생아 수보다 사망자 수가 2~4배 높고, 타지역 전출자도 늘어나는 현상이 반복됐기 때문이다.
2024년 12월 말에는 3만 10명으로까지 줄어든 데 이어 한 달 사이 100여명이 감소하며 결국 인구 2만명선이 현실화했다.
잇따르는 인구감소에 이상익 함평군수는 지난해 "지속적인 인구 감소에 시달리며 이제는 인구 3만명 붕괴가 목전에 다다른 절체절명의 상황이다. 지역소멸위기 대응에 모두가 한마음 한뜻으로 동참해 주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린다"는 읍소문까지 올렸다.
이 군수는 "우리 지역을 살리는 첫걸음은 바로 주소 옮기기다. 함평에서 근무하는 분들은 주소를 이전해 주고 외부에서 전입오신 분들을 따뜻하게 맞이해 달라. 함평과 관계를 맺고 있거나 관심 있는 주변인들에 우리 군 전입을 장려해 달라"고 호소했다.
인구소멸 고위험지역에서 벗어나기 위한 함평군의 절박함은 가볍지 않았다.
함평군은 지역소멸을 막기 위해 전입 학생과 군 장병에게 10만 원의 전입 장려금을, 49세 이하 부부에게는 600만 원의 결혼축하금을 지원해 왔다.
또 신혼부부, 다자녀가정을 위해 자녀수에 따라 200만~300만 원의 첫만남 이용권은 물론 첫째~셋째(300만~700만 원), 넷째 이상부턴 1000만 원의 신생아 양육비를 지원하는 등 전입·결혼·임신·출생·보육·양육·교육 분야에서 수십가지 '함평형 인구정책'을 시행했다.
여기에 더해 올해부턴 신생아에게 매달 20만 원의 출생기본수당을 지급하는 정책을 도입했지만 인구 절벽을 막기에는 한계였다.
인구 증가를 견인해야 할 청년들의 전출도 문제다. 함평군과 호남지방통계청이 시행한 '2024년 함평군 청년 통계'를 살펴보면 함평군의 15세 이상 청년 인구는 2019년 27.4%에서 2023년 23.0%로 감소했다.
지난해 청년 전입자수는 1146명인 반면, 전출자는 1180명으로 청년 유출이 지속됐다. 합계출산율은 2014년 1.95명에서 2023년 1.22명으로 낮아졌다.
함평군 관계자는 "인구 증가를 위한 다양한 정책과 지원을 아끼지 않는 등 지역소멸을 막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stare@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