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동 참사 유가족 "현대산업개발 책임 무거워…깊은 반성 해야"
재판부 항소심 판결서 현산 항소 기각
- 이승현 기자
(광주=뉴스1) 이승현 기자 = 재난참사피해자연대는 21일 "현대산업개발은 광주 학동 참사에 대한 깊은 반성과 함께 제대로 된 건설 기업의 문화를 정립하겠다는 새출발의 각오를 다져야 한다"고 말했다.
학동 참사 유가족 협의회와 4·16 세월호 참사 등 재난참사피해자들이 모인 단체는 이날 성명을 내고 재판부의 항소심 판결에서 원청업체의 항소가 기각된 점을 두고 "현대산업개발의 책임이 결코 가볍지 않음을 재확인해 주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단체는 "평온했던 도시의 오후 생활이 어처구니없는 붕괴 참사로 아수라장이 되고 시민 17명의 목숨이 사라졌거나 부상을 입었다"며 "참사의 원인은 다양하게 분석될 수 있지만 근본적으로는 공사를 총괄한 원청의 불법 재하도급과 현장의 부실한 관리에 큰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법과 원칙을 무시한 채 공사 기간 단축과 비용 절감이라는 단기적인 이익만을 추구한 현대산업개발은 오히려 그 대가로 공사 기간이 늘고 추가 비용 부담, 영업 정지 처분, 관련 종사자들의 형사처벌로 이어졌다"며 "현대산업개발은 이 엄정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단체는 "참사 유발 기업으로서 최소한의 도리이자 재발 방지를 다짐하는 의지로 숨져간 희생자들의 명복을 빌며 유족들의 슬픔을 해소할 상징으로 추모사업에 적극 나서야 한다"며 "참사로 심리적, 정서적 고통을 받는 피해자들을 위한 트라우마 치유에도 최선을 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광주고법 형사1부(재판장 박정훈)는 이날 광주 학동 참사 책임자들에 대한 항소심 판결에서 하청업체 직원 3명에 대해 감형했다. 원청인 현대산업개발 관계자와 법인에 대해서는 항소를 기각하고 1심 판결을 유지했다.
2021년 6월 9일 오후 4시22분쯤 광주 동구 학동4구역 재개발지역에서 철거 중이던 5층 건물이 무너지면서 승강장에 정차 중이던 시내버스가 매몰돼 승객 17명 중 9명이 숨지고 8명이 중상을 입었다.
pepper@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