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형 일자리' GGM 노조 파업…사측 "노조탄압 사실무근"(종합)
4시간 부분 파업…노조 "사측의 지속적 노조탄압"
- 박지현 기자
(광주=뉴스1) 박지현 기자 = 노사민정 조정특위 중재를 받던 GGM 노조가 '노조탄압'을 이유로 전조합원 부분 파업에 돌입했다.
GGM측은 '노조 탄압 등은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6일 전국금속노동조합 광주글로벌모터스(GGM)지회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 20분부터 4시간 동안 부분파업을 진행했다.
GGM 전체 임직원 690명 가운데 현재 노조에 가입된 인원은 228명이다. 사측은 이번 노조의 파업 참여 규모를 122명 규모로 보고 있다.
이번 파업은 지난 1월 14일 조합원 70명의 1차 순환파업 이후 5번째다.
노조는 이번 파업의 이유로 사측의 조합 간부 징계와 선전물·현수막 무단 철거, 차체공장의 시간당 생산대수 상향 등을 꼽았다.
노조는 보도자료를 내고 "차체공장의 시간당 생산대수를 사전협의나 고지없이 28대에서 29대로 상향시켰다"며 "사측은 노조탄압과 조합원 차별을 계속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GGM 측은 "조합 간부 징계와 관련해서는 조합 가입 여부와 관계없이 취업규칙에 의거한 징계이며 현수막 철거는 지정된 게시대에 미부착해 철거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 차체공장의 시간당 생산대수와 관련해서는 "생산적체로 인한 고객사의 요청으로 추가 생산하기 위함이었다"며 "지난 2월 상생협의회와 생산 증가 필요성을 설명했고 관련된 인원 증원과 일정에 대해 협의했다"고 설명했다.
GGM 노조는 노동3권을 우선적으로 보는 반면 사측은 GGM 출범 당시 약속한 '노사상생발전협정서'에 따라 누적 생산량 35만대 달성까지 물가상승률 수준의 임금인상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하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광주형 일자리' 모델인 GGM은 지난 2019년 4대 원칙인 적정임금, 적정노동시간, 노사책임경영, 원하청관계 개선을 기반으로 출범했다.
광주형 일자리는 기업이 낮은 임금으로 근로자를 고용하는 대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주거, 복지, 보육시설 등의 복리·후생 비용, 이른바 '사회적 임금'을 지원해 보전한다는 일자리 창출 사업이다.
광주시 노사민정협의회는 노사 갈등 해결을 위해 지난 1월 20일 중재특위를 본격 가동해 중재에 나섰다.
war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