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7년간 광주 땅꺼짐 154건…광산구 39.6% 가장 많아

박필순 광주시의원, 광주 싱크홀 지도 공개

박필순 광주시의원이 제작한 '광주시 싱크홀 지도'.(광주시의회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News1 박준배 기자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에서 7년간 150여 건의 땅꺼짐(싱크홀)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21일 박필순 광주시의원(더불어민주당, 광산구3)이 광주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8~2024년 광주 싱크홀 발생 건수는 총 154건이다. 싱크홀로 인한 인적 피해는 2건, 차량 피해는 11건이다.

지역별로는 광산구가 61건(39.6%)으로 가장 많고 동구 31건, 서구 27건, 북구 22건, 남구 13건 순이다.

세부 지역별로는 남광주역 9건, 금남로4가역 4건 등 도시철도 역사 인근과 광산구 월곡동 10건, 비아동 9건, 화정동 9건 등 구시가지가 많았다.

박 의원은 자료를 토대로 '광주 싱크홀 지도'를 제작해 공개했다.

박필순 의원은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르면 시장은 싱크홀 사고 발생 가능성이 큰 지역을 '중점 관리 대상'으로 지정해 관리해야 함에도 광주시는 아직 한 건도 지정하지 않았다"며 "위험지역에 대한 실효성 있는 사전 대응과 중점 관리 구역 지정을 통해 시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광주는 노후 하수관과 지하 도시철도 건설이 겹치는 등 지반침하에 취약한 지역적 특성이 있다"며 "정확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취약지점을 집중 관리하고, 공개된 안전지도를 활용해 시민들과 함께 대응하는 구조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지하안전법 상 중점 관리 대상 지정·고시 권한은 기초자치단체장인 시장·군수·구청장에 있, 여기에서 '시장'은 기초자치단체장을 말한다. 광주는 구청장이 지정·고시 권한을 가지고 있다"며 "박 의원이 제공한 자료 중 광주시장이 지정하지 않은 것처럼 표현된 것은 잘못돼 바로 잡는다"고 반박했다.

nofatejb@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