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이주여성 '입' 되기 위해…3년째 통번역 자원봉사 몽골 선배 엄마

[빛,나눔] 몽골 이주여성 오드발 씨
"이주여성은 '정보와 연결' 중요…한국어 강사 도전"

편집자주 ...내 가족, 내 동네, 내 나라라는 표현보단 우리 가족, 우리 동네, 우리나라라는 말이 더 자연스럽다. 우리들 마음에 '공동체 정신'이 녹아 있어서다. 자신의 빛을 나눠 우리 공동체를 밝히는 시민들을 소개한다.

11년 전 유학생 신분으로 처음 한국땅을 밟은 이주여성 오드발 씨(38)의 모습. 2025.4.30/뉴스1ⓒ News1 박지현 기자

(광주=뉴스1) 박지현 기자 = "진료실에 앉아 아무 말도 못한 채 눈물만 흘리는 후배를 봤어요. 낯설고 두려운 거죠. 그건 제 이야기이기도 했어요."

몽골 출신 오드발 씨(38)는 11년 전 유학생 신분으로 처음 한국 땅을 밟았다.

처음 한국에 왔을 때 오드발 씨가 마주한 것은 '말이 통하지 않는 삶'이었다. 진료실에서 의사에게 증상을 설명하지 못해 검사를 포기한 적도 있다. 주민센터에서는 서류를 잘못 내 되돌아 와야 했던 일도 부지기수다.

그는 "출산 후에는 우울증도 왔다. 아이를 낳으니 백신 접종부터 의료보험 신청 등을 모두 혼자 알아서 해야 했다"고 말했다.

문화예술 전공 석사과정을 마치고 한국에서 결혼식을 올린 그는 사랑스러운 자녀를 출산했다.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자리 잡은 오드발 씨는 3년 전부턴 자원봉사를 시작, 현재 광주 북구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소속 통역 서포터즈로 활동하고 있다. 낯선 땅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하는 이주여성들의 '입'이 되기 위해서다.

처음 통역 봉사를 시작한 것은 외국인 건강 검진 현장이었다. 의료진에게 아픈 곳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하는 외국인들의 모습은 자신의 유학생 시절을 떠올리게 했다.

오드발 씨는 "제가 겪은 어려움을 누군가는 덜 겪었으면 했다"고 소회했다.

오드발 씨는 관련 교육을 이수하고 사법통역사 자격증을 취득해 지금까지 20여 명의 후배 이주여성을 도왔다.

후배 이주여성들에게 오드발 씨는 단순한 통역가 역할에서 그치치 않는다. 병원 동행은 물론 아이 돌봄 서비스 신청, 학교 입학 준비, 요리와 문화체험 활동 안내까지 '생활 전반'을 챙긴다. 도움을 받은 이주 여성들은 그를 "또 하나의 가족같다"고 말했다.

그는 이주여성들에게 가장 필요한 것은 '정보와 연결'이라고 강조했다. 오드발 씨는 "이주여성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제도는 있다. 하지만 존재조차 모르면 아무런 소용이 없다. 누군가 먼저 손을 내밀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서포터즈 활동은 오드발 씨에게도 하나의 위안이다. 힘들었던 경험들이 누군가에게는 희망이 될 수 있다는 게 보람으로 느껴진다는 설명이다.

그는 "그분들이 고맙다고 말을 건네면 다시 살아갈 힘을 얻는다"고 웃음지었다.

세 살배기 아이를 키우며 한국어 교육 자격증에도 도전 중인 오드발 씨의 바람은 통역봉사를 오래 지속하는 것이다. 가끔 후배들이 '선생님처럼 되고 싶다'고 말할 때마다 걸어온 길이 틀리지 않았음을 느낀다.

오드발 씨는 오늘도 누군가의 곁에 선다. 과거의 자신처럼 말이 통하지 않아 두려워하고 있을 누군가를 위해서. 그는 "제가 손 내밀었던 하루가 누군가에게 다시 시작할 용기가 됐으면 한다"고 전했다.

warm@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