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정부 추경에 인공지능 예산 153억원 반영
AI 국가경쟁력 강화…지역화폐·공공배달앱 예산도 추가
- 박준배 기자
(광주=뉴스1) 박준배 기자 = 광주시는 국회 본회의를 통과한 '2025년도 제1회 정부 추가경정예산안'에 인공지능(AI) 사업과 지역화폐, 공공 배달앱 지원 예산 등이 반영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정부 추경은 △산불 등 재해·재난 대응 △통상과 AI 지원 △민생 지원 등 3대 목적에 따라 편성되면서 지역 예산은 사실상 제외되는 분위기였다. 광주 국가 AI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한 AI 사업은 '지역 사업'이라는 이유로 정부는 예산 편성에 난색을 보였다.
광주시는 안도걸·조인철·양부남 의원 등 지역 국회의원들과 긴밀히 협력하고, 강기정 시장이 '여의도 집무실'을 가동하며 직접 챙기는 등 선제 대응에 나섰다. 국회 예산 심의 초기부터 인공지능산업실장과 국비전략팀을 서울에 상주시켜 국회와 중앙부처를 설득해 이번에 광주 AI 전략사업 예산 153억 원을 최종 반영했다.
광주시 관계자는 "AI 예산이 요구액에 비해 충분하지 않아 아쉽지만, 정부의 '지역사업 전면 배제' 분위기 속에서도 일부라도 반영된 것은 의미 있는 성과"라며 "1단계 사업으로 구축한 국가 AI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하는 고성능 컴퓨팅자원(GPU) 지원 사업 등에 속도를 낼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AI 예산과 함께 광주시·대구시 등 4개 광역시가 요청한 '도시철도 통합 무선망 철도 구축사업비' 178억 원도 반영됐다.
광주시가 선제적으로 정책 효과를 입증하고 정부에 지속적으로 건의한 지역화폐와 공공 배달앱 예산 650억 원도 포함됐다.
광주 공공 배달앱(위메프오, 땡겨요)은 올해 3월 기준으로 누적 주문 185만 건, 459억 원의 매출을 올리는 등 대표적 모범으로 꼽히고 있다.
연 매출 3억 원 이하 소상공인에게 최대 연간 50만 원을 지급하는 '부담 경감 크레딧'(1조 6000억 원), 소비 확대를 유도하는 '상생 페이백'(1조 4000억 원), '소상공인 정책자금'(8300억 원) 등 총 4조 2000억 원의 소상공인 지원 예산도 반영됐다.
광주시는 지역 소상공인들의 수혜 예상액을 1600억 원으로 추산하고 있다. 충분하지는 않지만 어려움을 겪고 있는 지역 소상공인의 유동성 확보, 경영 부담 완화에 단비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강기정 광주시장은 "지난해 말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예산 증액이 무산됐는데 이번 추경에 아쉽지만 일부가 만회돼 다행이다"며 "앞으로도 전략적 국비 확보와 민생중심 정책 추진을 통해 시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nofatejb@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