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한강 '소년이 온다' 읽고…5·18묘지 찾은 일본 추모객 '오열'

소설 모티브 고 문재학 열사 어머니 담담하게 설명
손주 데려온 아들 "바뀐 세상 아버지께 보여주고파"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을 마치고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 주인공인 고(故) 문재학 군 어머니 김길자(84)씨가 묘를 살피고 있다. ⓒ News1 김태성 기자

(광주=뉴스1) 이수민 기자 = "내 아들 재학아 잘 있니? 전세계에서 널 위로하러 왔단다…"

'함께, 오월을 쓰다'를 주제로 18일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종료 직후 고(故) 문재학 열사의 묘소에는 많은 이들이 몰렸다.

1980년 5월 전남도청에서 마지막까지 계엄군에게 맞서다 산화한 10대 학생이자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한강 작가의 소설 '소년이 온다'의 주인공 '동호'의 모티브가 된 문 열사의 사연은 이날 기념식에서도 재차 조명됐다.

행사 직후 묘역으로 올라간 어머니 김길자 씨가 아들 묘비를 잡고 덤덤하게 이야기하다 눈물을 삼키자 주변에 몰린 일반 시민과 해외에서 온 추모객들이 더 크게 오열하며 김 씨를 위로했다.

김길자 씨는 일본서 온 관광객들에게 "5월 25일 집에 가자고 재학이를 데리러 갔다. '친구가 죽어서 집에 못 간다'고 하더라. 26일에 또 데리러 갔는데 그땐 '막차 타고 가겠다'고 하길래 되돌아왔다. 결국 27일 죽었다는 소식을 들었다"고 덤덤히 설명했다.

이 말을 듣고 한참을 울던 오사카 교토에서 온 후카츠 아츠코 씨(71·여)는 "너무도 덤덤하고 당당하게 그때 일을 설명하는 김길자 어머니를 보면서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치 않는 어머니의 사랑에 공감했다"며 "한강 작가의 '소년이 온다'를 읽고 한국 5·18에 관심이 커졌다. 내년에도 오겠다"고 말했다.

김길자 어머니는 "전세계적으로 찾아와주시고 나를 위로해주시고 하니 기분이 말할 수 없이 좋다"며 "재학이도 분명 기뻐하고 있을 것이다. 너무 감사하다"고 답했다.

화순 주남마을 미니버스 사건에서 숨진 고(故) 박현숙 씨 묘소에는 여동생 박태순 씨(50)와 조카 정예지 씨(25·여)가 와서 추모했다.

박 씨는 "언니는 당시 고3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어렸을 때 언니가 7살이던 나에게 글도 가르쳐주고 과자도 갖다주고 했던 기억이 생생하다"며 "매년 딸과 함께 민주묘지를 찾는다. 하늘에 있는 언니에게 행복을 빌어주고 싶다"고 전했다.

5월 21일 전남도청 앞 집단발포 사건 당시 두부에 총상을 맞고 숨진 고(故) 조대훈 씨 묘소 앞에서는 아내와 아들, 며느리, 손주 등 가족이 함께 기념사진을 찍고 있었다.

아들은 아버지 묘비를 잡고 눈물을 흘리며 "그때와 세상이 많이 바뀌었다. 그땐 광주 사태라며 왜곡과 폄훼가 심했는데 지금은 다 회복돼 '민주화운동'임을 전국민이 안다. 바뀐 세상을 아버지께 보여드리고 싶다"고 이야기했다.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45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후 김영철 열사의 아내 김순자씨가 묘비를 살피고 있다.2025.5.18/뉴스1 ⓒ News1 김태성 기자

들불야학 출신으로 윤상원 열사와 함께 마지막까지 도청을 지켰던 고(故) 김영철 열사 아내 김순자 씨(72)도 남편을 회상하며 한참 자리를 지켰다.

김영철 열사는 27일 새벽 전남도청에서 7발의 총상을 입고 다행히 목숨을 건졌으나 고문 후유증으로 5·18 이후 19년 만에 정신질환으로 숨졌다.

김순자 씨는 "바빠서 자주 못 오는데 남편이 죽기 전 너무 불쌍하고 고생하다 죽어서 마음이 여전히 애잔하다"고 했다.

breath@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