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 경기도 GH 이전 백지화 공언에 대응방안 고심
"서울편입 기초자료 수집 단계…결정된 것 없어"
도 "서울 편입 원하는 구리에 GH 이전 안할 것"
- 이상휼 기자
(구리=뉴스1) 이상휼 기자 = 구리시가 서울 편입 추진을 고수하자 경기도가 '경기주택도시공사(GH)'의 구리 이전 계획을 전면 백지화할 수 있다고 21일 선언했다. 이에 구리시는 대응 방안을 고심 중이다.
이날 오전 고영인 경기도 경제부지사가 기자회견을 열고 "구리시의 서울 편입 추진에 유감을 표명하며, 그에 상응하는 조치로 GH 구리 이전과 관련한 모든 절차를 전면 중단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도의 발표에 대해 구리시 담당부서 관계자는 "회의 중이다. 입장은 곧 발표하겠다"고 밝혔다.
GH는 광교신도시와 다산신도시를 조성한 경기도의 핵심 산하기관으로 700여 명의 상주 인원과 연간 2만여 명의 내방객 등 인구유입이 예상돼 해당 지역의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는 기관이다.
도는 2021년 민선 7기 이재명 지사 때 경기북부 발전을 위한 성장잠재력 극대화를 위해 산하기관 중 가장 큰 경제효과를 유발하는 곳으로 꼽히는 GH를 북부로 이전시키기로 했다.
당시 1차 공모에서 10개 지자체가 유치전에 뛰어들었고 이어 구리·남양주·포천·고양·파주가 2차 심사를 거쳤으며, 구리와 남양주가 치열한 각축 끝에 구리로 선정된 바 있다.
하지만 지난해 김포시의 서울시 편입 이슈 이후 구리시도 서울시 편입을 희망함에 따라 도내 최대 산하기관 GH의 이전 문제도 수면 위로 떠올랐다.
우선 구리시와 연접한 다산신도시 주민(다산신도시 총연합회)들이 똘똘 뭉쳐 "GH는 서울시로 편입 희망하는 지자체가 아닌, GH와 협력한 바 있는 남양주로 이전해야 한다"고 나섰다.
이와 함께 남양주시의회 의원 전원도 지난 11일 열린 제30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경기주택도시공사 북부 이전지 재검토 건의안’을 만장일치로 의결하고, GH의 이전 가능 후보지로 남양주시를 적극 검토할 것을 경기도에 촉구했다.
남양주시의회의 이 같은 활동에 대해 구리시는 "남양주시의회가 제기하는 GH 이전 재검토는 경기도와 구리시민을 무시하는 처사로 매우 유감스럽다"고 맞섰다.
구리시는 "서울 편입은 많은 시민이 원하고 있는 사안임에 따라 서울편입 효과 분석연구용역 등을 추진하고 있으나 이는 관련된 기초자료를 수집 작성하는 것일 뿐 아직 결정된 사항이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구리시민이 한마음으로 유치에 성공한 GH 구리시 이전은 2021년 6월 29일 체결한 '경기주택도시공사 이전 추진을 위한 업무협약' 내용에 따라 정상적으로 추진되고 있다"고 했다.
하지만 경기도가 열흘 만에 남양주시민·시의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내용의 입장을 내면서 상황이 구리시에 불리하게 전개되고 있다.
이날 고영인 부지사는 "경기도를 비롯한 수도권은 과도한 집중으로 인해 주민의 삶의 질이 낮아지고 있다"며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행정 체제 개편은 지역별 여건에 맞게 이뤄져야 한다. 서울과 경기도 등 수도권은 분리적 관점에서 논의돼야 하며, 이를 위해 경기도는 분권을 통한 자립적 발전을 지향하는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준비해 왔다"고 말했다.
고 부지사는 "구리시가 서울시에 편입되면 경기도 공공기관인 GH가 구리시에 갈 아무런 이유가 없다"며 "구리시의 서울 편입 시도를 멈추지 않는다면, GH의 구리시 이전은 백지화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구리시는 경기도의 발표에 관해 대응 방안을 모색 중이라는 입장이다.
daidaloz@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