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동서울변전소 인허가 지지부진…1인 릴레이 시위 나선 한전 직원들

하남시, 행정심판 패소에도 인허가 내주지 않고 버텨
한전 "전력수급 불안정에 따른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

김호기 한국전력공사 HVDC 건설본부장이 지난 16일 경기 하남시청 앞에서 '동서울 변전소 옥내화 허가'를 촉구하는 1인 시위를 하고 있다.(한국전력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뉴스1

(하남=뉴스1) 양희문 기자 = 경기 하남시가 동서울변전소 증설 및 옥내화 사업을 막기 위한 도 행정심판에서 패소했음에도 여전히 인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한국전력 측은 동서울변전소 건설이 지연되면 전력 수급 불안정으로 국민의 전기요금 부담이 커질 수 있다며 답답함을 호소하고 있다.

22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하남시는 지난해 8월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 사업과 관련한 4건의 허가신청서에 대해 불가 처분을 내렸다.

시민의 건전한 생활환경 확보를 위한 개발제한구역 지정 취지에 맞지 않을뿐더러 한전 측이 주민 의견 수렴 절차를 진행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하지만 도 행정심판위원회는 지난해 12월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증설 사업과 관련한 분쟁에서 한전 측의 손을 들어줬다.

이에 따라 사업은 순조롭게 진행될 것으로 보였으나, 4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시는 관련 인허가를 내주지 않고 있다.

동서울변전소 증설 전후 전기 흐름도(한국전력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뉴스1

한전은 사업 지연에 따른 국민 피해를 우려하고 있다.

동서울변전소가 현재 서해안 지역 발전소를 통해 공급받는 전력량은 2.5GW이다. 그중 1GW가 하남에, 1.5GW가 서울 일부 지역 등에 공급된다.

한전은 2027년 서해안 발전소와 동해안 발전소를 통해 각각 0.6GW, 3.9GW 등 모두 4.5GW의 전력량을 공급받을 계획이다.

문제는 수도권의 전력 사용량이 많이 늘어나는 상황에서 동서울변전소 증설 사업이 지연되고 있다는 점이다.

하남의 경우 교산지구나 지하철 3호선 등 사업이 예정돼 있어 앞으로 더 큰 전력수요가 예상된다.

이 탓에 사업 지연에 따른 전력 수급 불안정 문제가 커질 수 있다.

동서울변전소가 있는 감일지구 전자파 측정량(한국전력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뉴스1

전기요금 인상 가능성도 있다.

한전은 동서울변전소 증설 사업이 지연되면 연간 3000억 원의 전기요금 인상 요인이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동해안 발전소를 통해 전력을 공급받지 못하면 대체 수단으로 값비싼 LNG 발전소 등을 가동해야 하므로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얘기다.

한전은 '전자파 유해성 논란'에 대해서도 사실과는 다르다는 입장이다.

주민들은 변압기 설비용량을 2GW에서 7GW로 증설함에 따라 3.5배 넘는 전류가 오게 된다며 안정상 문제와 함께 전자파를 걱정하고 있다.

한국전력이 경기 하남시 감일동 일원에 동서울변전소 관련 소통라운지를 마련했다.(한국전력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뉴스1

이에 한전은 실제 동서울변전소로 유입되는 전력량은 2.5GW에서 4.5GW로 1.8배 증가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전자파 역시 고압직류 송전(HVDC) 기술이 사용되기 때문에 '사실상 전자파가 방출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한전 관계자는 "동서울변전소는 하남시의 교산신도시와 3호선 감일역 등 숙원사업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핵심 설비"라며 "사업설명회를 더욱 활성화해 지역 주민의 이해를 높여 관련 사업이 적기에 추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동서울변전소 옥내화 및 HVDC 변환소 증설 사업은 기존 변전 설비를 고도화해 옥내로 배치하고, 잔여 부지에 500킬로볼트(㎸)급 HVDC 변환소를 건립하는 것이다.

한전 직원들은 인허가 지연에 따른 피해를 우려해 지난 16일부터 1인 릴레이 시위에 나서고 있다.

yhm95@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