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빠지는 농촌…경기도, 27만명 공급해 농번기 인력난 해소
농업분야 인력 120만명 필요…6월까지 인력수급지원 상황실 운영
- 최대호 기자
(수원=뉴스1) 최대호 기자 = 경기도가 농번기를 맞아 일손 부족에 시달리는 농촌 현장을 돕기 위해 총 27만여 명을 공공부문에서 공급해 농촌 인력난을 해소할 계획이라고 6일 밝혔다.
도는 올해 농업 분야 전체 인력 수요를 약 120만 명으로 추정하고, 이 중 27만 명을 공공 부문에서 공급할 계획이다.
여기엔 농촌인력 중개센터 및 공공형 계절 근로 인력 중개 약 4만 2000명, 농협 및 단체 일손 돕기 약 18만 명, 법무부 사회봉사명령 약 3만 6000명, 그리고 농가형 계절근로자 약 4000명, 고용허가제 외국인 근로자 약 8000명이 포함된다.
도는 시군과 협력해 농번기 인력수급 지원 상황실을 6월까지 운영한다. 화성·평택·파주·김포·포천·양평·안성·여주·연천 등 농촌인력 중개센터 및 공공형 계절 근로를 운영하는 9개 시군 중심으로 현장의 농작업 진행 상황, 인력 수급 및 임금 동향 등을 주간 단위로 모니터링한다.
외국인 계절근로자의 경우 지난달 28일 기준 19개 시군에 3032명이 입국, 고용돼 있다. 이는 상반기 배정 인원 4336명 대비 70% 정도 규모이며, 이달 중 90% 이상이 입국해 일손이 부족한 농업 현장에 투입될 것으로 전망된다.
도는 농작업 유형별 근로 수요가 다양하다는 점을 고려해 맞춤형 인력 배치를 추진 중이다. 농촌의 일손 유형은 △상시 근로 △계절 근로 △일시 근로 △수시 근로 등 4가지로 구분되며, 분야와 시기에 따라 필요 인력이 달라진다.
상시 근로는 축산과 시설원예 분야 등 상시 노동력이 필요한 분야에 고용허가제(E-9)를 통해 외국인을 3년 이상 장기 고용하는 형태다. 계절 근로는 5~8개월 과수나 채소 등 수확 시기에 인력이 집중되는 품목에 대해 계절근로자(E-8)를 단기간 투입하는 방식이다. 일시 근로는 농촌인력 중개센터나 공공형 계절 근로를 통해 단기적이고 비연속적인 수요에 대응하는 것이고, 수시 근로는 가족 단위 농가의 자가 노동 중심이다.
박종민 도 농수산생명과학국장은 "농작업 유형과 시기에 따라 정밀하게 인력 지원 체계를 운용하고, 공공과 민간이 힘을 합쳐 현장 중심의 실질적 인력지원 체계를 정착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sun0701@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