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안 수위 매년 3.15㎜ 상승…도서지역 주민 침수 피해"
신영희 인천시의원 "시 해수면 관측체계 미비"
- 이시명 기자
(인천=뉴스1) 이시명 기자 = 서해안의 해수면 수위가 매년 상승하고 있어 인천 도서 지역 주민 생존권 보장을 위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시의회로부터 나왔다.
국민의힘 소속 신영희 인천시의원(옹진군)은 4일 시의회 임시회 5분 발언을 통해 "작년 대조기 때 덕적도 북리항에서 바닷물이 주택 내부까지 차올라 주민들이 밤새 물을 퍼내야 했다. 작년 8~9월 대청도·소청도·연평도·승봉도 등 섬 지역에선 도로 34곳, 물양장 17곳, 주택 5곳, 새우양식장 1곳 등 총 57곳이 침수 피해를 봤다"며 "시의 해수면 상승 관측 체계가 미비하고 기후변화 대응 조직의 비체계성 등 문제점이 산재해 있다"고 지적했다.
신 의원에 따르면 지난 35년간 서해안의 해수면 수위는 계속 상승해 왔다. 국립해양원 조사 자료를 보면 서해안 해수면 수위는 1989년부터 2023년까지 연평균 3.15㎜씩 상승했다.
이와 관련 신 의원은 인천시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신 의원은 "해당 섬들을 관리하는 옹진군은 재정이 열악해 대규모 방재시설을 확충하기 어렵다"며 "시의 중앙정부 협력 강화와 재난관리기금을 활용한 대응 시스템 구축 등의 방안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기후변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은 막연한 미래 위기가 아니다"며 "도서 지역 주민 생존권 보장을 위해 시의 실질적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see@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