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파티카지노

백령·대청도 유네스코 등재 저지…北 이의신청 속내는?

유네스코 회원국 이의제기로 지정 절차 중단 처음
전문가 "백령도·대청도 北 도발 가능성 높은 지역"

인천시는 서해5도 지역인 백령도와 대청도(소청도 포함)을 국가지질공원으로 인증 받게 하기 위한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10일 밝혔다. 이 지역은 25억년 전부터 10억년 전의 지층이 다수 포함돼 10억년 전·후 대륙판의 이동 역사 등을 규명할 수 있는 핵심지역으로 학술·경관적으로 높은 국제급 지질로 평가받고 있다. 사진은 백령도 모습. (인천시 제공) 2017.4.10/뉴스1

(인천=뉴스1) 정진욱 기자 = 북한이 인천시가 추진해 온 백령·대청도 세계지질공원 유네스코 등재에 이의를 제기함에 따라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전문가들은 북한의 서해 북방한계선(NLL) 무력화 시도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24일 인천시 등에 따르면 북한은 지난 19일 유네스코에 백령·대청 세계지질공원 지정 신청에 대한 반대의견을 서면으로 냈고 이 때문에 관련 절차가 중단됐다. 유네스코 회원국의 이의제기로 세계지질공원 지정 절차가 중단된 건 이번이 처음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선 제주도(2010년), 청송(2017년), 무등산권(2018년), 한탄강(2020년), 전북 서해안(2023년) 등이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돼 있다.

인천시가 세계지질공원 지정을 신청한 지역은 백령·대청·소청도 일대다. 이곳은 해양 단층, 생태자원 등으로 지질학적 가치가 크다. 동시에 이들 지역은 우리 군의 군사적 요충지이기도 하다. 정부와 인천시는 오는 2030년 개항을 목표로 백령도에 길이 1.2㎞. 폭 30m 규모의 활주로를 갖춘 공항을 짓는 방안도 추진 중이다.

백령도 사곶해변(인천시 제공. 재배포 및 DB금지) /뉴스1

이들 섬은 한국전쟁(6·25전쟁) 정전협정 당시 유엔군사령부가 설정한 해상 군사경계선인 서해 북방한계선(NLL) 이남에 있다. 그러나 북한은 이를 인정하지 않고 있다. 북한은 1999년엔 '해상군사분계선'이란 이름의 선을 NLL보다 남쪽에 긋기까지 했다.

따라서 이들 섬이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으로 지정될 경우 국제사회가 NLL을 인정하는 것으로 여길 수 있단 점에서 북한이 제동을 걸었을 수 있단 관측이 제기된다.

신인균 자주국방네트워크 대표는 "미국의 전쟁 시뮬레이션에서도 서북도서가 북한 도발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지목된다"며 "백령도와 대청도가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에 등재되면 북한이 해당 지역을 공격할 경우 국제사회로부터 비난을 받게 되고 전략적으로도 우리를 공격할 통로가 차단된다"며 "북한의 이의 제기는 이러한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지질공원 지정은 관광과 생태 가치를 키우는 것뿐 아니라 국가 주권과도 연결된 문제"라며 "북측의 이의 제기는 명백한 외교적 도발"이라고 규정했다. 이어 "북한 백두산 등재에 한국이 협력한 전례를 돌아보라"며 "소모적 반대를 중단하고 대승적으로 협조하라"고 촉구했다.

onething@dqdt.shop

바오슬롯 프리미어카지노 소닉카지노 산타카지노 토르카지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