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담댐, 수상태양광 설치로 '상수원보호구역' 지정되나
진안군, 2005년부터 주민 자율관리로 1급수 수질 유지
전북환경운동연합 "상수원보호 장치 마련해야" 주장
- 김동규 기자, 장수인 기자
(진안=뉴스1) 김동규 장수인 기자 = 한국수자원공사가 용담댐에 수상태양광 설치를 추진하면서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이 화두로 떠오른다.
용담댐은 2005년부터 주민들의 자율관리로 1급수의 수질을 유지하고 있다.
진안·무주·장수군, 한국수자원공사, 한국농어촌공사 등 5개 기관의 전문가 10명으로 구성된 평가위원들이 용담댐 수질개선을 위한 자율관리 실태를 2년마다 점검해 평가한다.
14일 진안군에 따르면 용담댐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규제가 강화돼 주민들의 재산권에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 때문에 진안군은 매년 용담댐 수질 보전에 많은 예산을 투입하고 있으며, 광역상수원 지킴이나 용담호 수질개선 주민협의회 등 군민들이 수질을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용담댐은 전북자치도의 평가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아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지 않고 자율관리를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수자원공사가 용담댐에 수상태양광 사업을 추진하면서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은 최근 성명서를 내고 "단순한 수질 관리 기술 검증을 넘어 도민들의 정서적 거부감과 사회환경적 영향을 포함한 종합적 판단이 필요하다"면서 "지금 필요한 것은 20년간 추진된 수질 자율관리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보완하는 것이다. 상수원보호구역 지정을 포함한 법적·제도적 상수원 관리 장치 마련이 우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전북환경운동연합의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주장에 진안군은 “말도 안 된다”며 펄쩍 뛰고 있다.
진안군 관계자는 “용담댐에 수상태양광 설치 공사가 확정된 것은 아니다”며 “수상태양광 때문에 용담댐이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된다면 얻는 것보다 잃는 것이 더 많다”고 우려했다.
주민 김 모 씨(70·진안읍)도 “20년 가까이 용담댐 수질을 보전하기 위해 노력했다. 상수원보호구역으로 지정되면 그동안 노력이 수포가 된다”며 “용담댐으로 인해 더는 주민들의 피해가 있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kdg2066@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