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 사활 걸었다…군산시, 막바지 절차 착수
해상풍력 TF팀 구성 보고회 개최, 파급효과 극대화 전략 수립
- 김재수 기자
(군산=뉴스1) 김재수 기자 = 대규모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지정에 사활을 걸고 있는 전북자치도 군산시가 사전 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등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지난 2025년 3월 공포된 '해상풍력 보급 촉진 및 산업 육성에 관한 특별법'(이하 해상풍력 특별법) 제정과 2026년 3월 시행을 앞두고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전략이다.
시는 법률 시행 이후에는 정부 주도로 해상풍력 사업이 본격 확대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전에 ‘집적화단지’로 우선 지정받기 위해 총력전을 벌이고 있다.
집적화단지 지정을 받아 주도권을 확보하고 공공개발 방식으로 단지개발을 선도하겠다는 전략을 세웠기 때문이다.
그동안 사업 초기 단계부터 주민 수용성 확보를 위한 민관협의회 운영을 지속해 왔다.
지난 3월 열린 제12회 군산시 해상풍력 민관협의회에서는 집적화단지 사업 구역을 공식 결정하여 사업 추진의 정당성과 안정성을 확보하기도 했다.
군산시 해상풍력 집적화단지는 약 1GW급 발전 용량이 목표이며, 사업 구역은 옥도면 어청도 인근 해역(약 180㎢)이다. 해당 해역은 우수한 '풍황(바람의 질이나 양) 자원'을 보유해 경제성이 높고 지속적인 주민 소통을 통해 높은 수준의 ‘주민 수용성’까지 확보한 우수 입지로 평가받고 있다.
이를 위해 시는 '해양 입지 컨설팅' 등 집적화단지 지정을 위한 사전절차를 이행 중이며 △풍황 계측을 위한 공유수면 점용·사용 협의 △전력 계통 연계를 위한 한국전력과의 협의 △주민설명회·사업자 포럼 개최 등도 추진하고 있다.
집적화단지 지정 이후 조성 단계에서 지역의 경제·산업 파급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적 대응에도 집중하고 있다.
지난 8일 시장·부시장과 관계 국·과장을 대상으로 '해상풍력 기본계획 수립 용역'과 '해상풍력과 연계한 지역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용역' 보고회를 갖기도 했다.
시는 앞으로 해상풍력 테스크포스(TF)팀을 조직해 산업 육성과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전문인력 양성, 관광 활성화 등 통합 전략을 본격적으로 수립해 나갈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지자체 주도 해상풍력 집적화단지 조성으로 군산시가 명실상부한 에너지 자립 도시로 자리매김하겠다"며 "해상풍력 산업을 통해 배후 항만 지정과 기업 유치를 통한 일자리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까지 이바지할 것을 기대한다"고 전했다.
kjs67@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