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 신규 지정…전북 3번째
미등재 고시형 원료 일반식품 적용·공유공장 실증 추진
식품클러스터·기회발전특구와 연계…기업 유치·고용 창출 기대
- 유승훈 기자
(전주=뉴스1) 유승훈 기자 = 전북도가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로 새롭게 지정됐다. K-푸드 산업의 글로벌 도약을 향한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21일 도에 따르면 '전북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는 이날 규제자유특구위원회(위원장-국무총리) 최종심의 결과, 제10차 규제자유특구로 신규 지정·확정됐다.
이번 특구 지정은 2019년 친환경자동차, 2020년 탄소융복합산업에 이은 5년 만에 신규 지정된 전북의 3번째 규제자유특구다. 그린바이오 기반의 신성장 산업 생태계 조성을 목표로 추진돼 온 전략의 주요 성과로 평가된다.
특히 기능성식품 분야에서 전북이 선제적으로 산업 기반을 강화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사업에는 총 159억원(2026~2028년)이 투입된다. 익산·전주·순창·남원 15개 기업(기관)이 참여한다.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 총괄을 맡고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발효미생물산업진흥원 등 유관기관이 협력해 실증사업을 추진할 예정이다.
특구에서는 2가지 규제특례 실증사업이 추진된다. 먼저 '미등재 고시형 기능성 원료의 일반식품 적용 실증'으로 11종의 기능성 원료에 대해 안전성 자료 확보, 생산기준 설정, 시제품 제작, 기능성 표시 등록까지 수행한다.
'건강기능식품 공유공장 운영 실증'의 경우 스마트 GMP 기반 자동화공정을 갖춘 시설에서 다수 기업이 공동 활용 가능한 제조 체계를 마련, 운영 효율성과 안전성을 검증하게 된다.
도는 그간 식품의약품안전처와의 지속 논의를 통해 실증사업 타당성과 실행 가능성을 인정받아 이번 특구 지정을 이끌어냈다. 이번 특구 지정을 계기로 국가식품클러스터 2단계 조성과 푸드테크 기반 혁신 생태계 구축, 식품기업 유치 확대 등을 통해 도내 식품산업 전반의 경쟁력을 한층 끌어올릴 방침이다.
또 기능성식품 산업을 중심으로 지역 농생명 산업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기술력 있는 유망기업 발굴과 시장진입 지원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계획이다.
아울러 2028년까지 44개 기업 유치, 85명 신규 고용, 96건 제품개발, 344억 원의 생산유발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향후 국클 1·2단계, 기회발전특구(건강기능식품), 연구개발특구(농생명융합) 등과의 연계를 통해 식품산업 전반의 시너지 효과도 기대된다.
김관영 전북도지사는 "이번 특구 지정은 전북 보유 식품산업 인프라와 잠재력을 바탕으로 농생명산업 특화도의 위상을 입증한 계기"라며 "전북 기능성식품 규제자유특구 실증사업이 안정적으로 추진돼 글로벌 식품 중심지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아낌없는 지원을 하겠다"고 말했다.
9125i14@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