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축제 38개 예정대로…행안부·지자체, 연말특수 살리기 총력
점심 회식 독려하고, 주1회 구내식당 밖에서 식사 권고
'축제 비용 증가' 교부세 페널티 없애고 홍보 방안 마련
- 이설 기자
(서울=뉴스1) 이설 기자 = 행정안전부와 전국 지방자치단체는 윤석열 대통령의 직무 정지 여파로 지역 경제가 얼어붙지 않도록 축제와 행사, 공무원 송년 모임 등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18일 행안부는 이상민 전 장관이 12·3 계엄 사태로 사임한 이후 꾸준히 지자체와 사태 수습에 총력을 다하는 모습이다.
행안부는 고기동 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지난 9일 시도 부단체장 회의를 개최하고, 12일엔 시도 부단체장 회의 결과를 담은 공문을 각 기관에 전파했다. 이어 15일 또다시 고 직무대행 주재로 시도 부단체장 회의를 개최하는 등 경제 살리기에 집중하고 있다.
회의 주요 내용은 서민생활안정과 지역경제 활성화다. 특히 행안부는 지역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체감경기가 살아날 수 있도록 각종 모임, 회식 등을 권장하고 있다. 탄핵 정국으로 송년 모임이나 단체 예약이 끊기면서 식당업계의 연말 특수가 실종된 데 따른 것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과음으로 인한 사고, 음주 운전 등을 주의하는 선에서 모임 활성화를 권장하고 있다"며 "행안부 내부적으로도 실, 팀 단위로 저녁 회식을 못 한다면 점심이라도 회식하게끔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경남도청, 경기 시흥시청 등은 주 1회 구내식당 대신 외부 식당을 이용하는 등 내수 진작에 나서고 있다.
행안부는 각 지역에서 진행 중인 연말 축제도 예정대로 추진할 것을 독려했다. 당초 축제 행사 비용 증가는 교부세 페널티 사유였지만 내년부터는 해당 페널티 항목을 폐지하기로 하는 등 지원도 강화한다.
이날 기준 각 지역에서 진행 중인 축제는 서울윈터페스타, 세종시 빛축제, 양평 빙송어 축제 등 총 38개다.
행안부는 축제 독려를 위해 각 지역의 축제를 통합해서 홍보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외에 연말까지 소비·투자 분야를 중심으로 재정을 적극 집행하고, 지방 공공요금 인상 시기 조정 등을 통해 지역 물가 관리에도 나설 예정이다.
이와 관련 행안부와 각 지자체는 '지역 민생안정 대책반'을 구성해 운영하며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sseol@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