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데이터·디지털 기술로 지역문제 해결…5개 과제 선정
교통약자 이동권 개선, 농업 생산성 제고 등
- 한지명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행정안전부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와 '2025년 데이터 기반 지역문제 해결 사업'(이하 공감e가득사업)을 공모해 지역 현장 문제 해결을 위한 5개의 과제를 최종 선정, 5월부터 본격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공감e가득 사업은 2018년부터 지역 현장의 문제를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로 해결하기 위해 시작됐다.
올해는 지자체를 대상으로 공모를 진행한 결과 총 39건이 접수되어 7.8 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지원한 과제 중 지역 현안의 시급성, 주민 참여도 및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 등을 종합 고려해 최종 5개 과제를 선정했다.
서울특별시 은평구는 교통약자의 이동권을 개선하는 '인공지능-사물인터넷(AI-IoT) 기반 전동보장구 이동안전 플랫폼' 구축 사업을 추진한다.
전동휠체어 등 전동보장구 사용이 증가함에 따라 관련 사고도 늘고 있으나, 안전사고 관련 데이터가 부족해 신속한 대응이나 선제적 예방·재발 방지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은평구는 이번 사업을 통해 인공지능 사물인터넷(AI-IoT) 기반 전동보장구 이동 안전 플랫폼을 구축할 계획이며, 고령자, 장애인 등 교통약자의 이동권 개선을 기대하고 있다.
울산광역시는 외국인 정착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한다. 경기도 하남시는 보행자 안전을 위한 '인공지능(AI) 기반 불법 통행 오토바이 단속관리 서비스'를 도입한다.
전라남도 강진군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 낚시 관광 플랫폼'을 마련하고, 제주특별자치도는 제주형 스마트 농업 환경을 조성하는 '스마트 드론 방제 시스템'을 구축한다.
행정안전부는 기존 1억 원에서 2배 상향한 2억 원을 각 과제에 지원하고, 과제별 맞춤형 현장 컨설팅도 제공할 계획이다.
hj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