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 산불' 주민대피체계 실효성 높인다…후속조치 점검
- 한지명 기자

(서울=뉴스1) 한지명 기자 = 행정안전부는 7일 홍종완 사회재난실장 주재로 '초고속 산불 대비 주민대피체계 개선방안 점검회의'를 개최했다. 지난 4월 발표된 초고속 산불 대비 주민대피체계 개선방안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기관별 후속조치 계획이 논의됐다.
산림청은 초고속 산불의 정의, 전개 양상, 국민행동요령 등을 산불재난 표준매뉴얼에 반영할 계획이다.
보건복지부는 산림 인접 지역 내 요양원 등 대피 취약시설의 위치, 피해 여부, 대피계획 수립 여부 등을 조사하며, 기존 사회복지시설 안전점검체계도 대형산불 대응 분야까지 확대할 예정이다.
경북·경남·울산 등 산불 발생이 잦은 지역의 지자체들은 정부 가이드라인을 바탕으로 지역 여건에 맞는 주민대피체계를 개선할 방침이다.
최근 산불 발생으로 주민을 신속히 대피시킨 사례도 공유했다. 지난달 26일 강원 인제군 산불 당시 발화지점 인근 마을뿐만 아니라 확산 방향에 있던 시군에서도 선제적으로 주민들을 대피시켰다.
또 지난달 대구 함지산 산불 당시, 노인복지시설에서 생활하는 어르신들을 대구 시내에 위치한 의료원 등으로 안전하게 대피시키고, 인근 지역인 칠곡군, 경산시, 영천시에서도 산불 상황을 주민들에게 안내했다.
홍종완 사회재난실장은 "정부가 마련한 주민대피체계가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지자체를 비롯한 관계기관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라며 "초고속 산불로 인한 인명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각 기관에서는 대책 후속조치를 차질없이 이행해달라"라고 당부했다.
hjm@dqdt.shop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